'손선풍기' 전자파가 기준치 322배?...과기정통부 "검증착수"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7 12:22:15
  • -
  • +
  • 인쇄
▲환경보건시민센터, 휴대용 선풍기 전자파 측정 (사진=연합뉴스)


한여름 필수아이템으로 휴대하는 손선풍기가 세계보건기구(WHO) 안전기준보다 최대 322배 높은 전자파가 발생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목에 걸고 다니는 목선풍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도 WHO 기준보다 47배 높았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이달 대형마트나 서점 등 시중에서 판매되는 목선풍기 4개와 손선풍기 6개를 구매해 전자파를 측정했더니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6일 밝혔다. 시민센터는 "드라이기와 유선 선풍기 등 일반 가전제품과 마찬가지로 건전지 등을 넣어서 사용하는 손선풍기와 목선풍기 등도 모터에서 전자파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목선풍기는 날개쪽과 모터쪽에 총 6회에 걸쳐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평균 전자파가 188.77밀리가우스(mG)로 나타났다. 최소값은 3.38mG 최대값은 421.20mG였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제시한 전자파 노출 '안전기준'은 4mG다. 목선풍기에서 측정된 전자파는 이같은 안전기준보다 약 47배 높은 수치다.

손선풍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이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손선풍기 6대에 대한 전자파를 측정했더니 평균 464.44mG의 전자파가 발생했다. 최소값은 29.54mG, 최대값은  1289mG이었다. 이는 안전기준보다 무려 322배 높은 수준이다. 안전기준인 4mG 이상의 전자파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환경보건시민단체는 "손선풍기는 사용거리를 조절할 수 있지만 목선풍기는 목에 걸고 있기 때문에 신체와 일정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목선풍기가 손선풍기보다 전자파 노출위험이 더 높다"고 말했다. 손선풍기도 전자파 위험성에서 벗어나려면 25cm 이상의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환경보건시민단체는 지난 2018년에도 손선풍기의 전자파 조사결과를 발표했지만, 당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판되는 휴대용 선풍기의 전자파 발생량은 인체보호 기준에 만족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도 목선풍기 10개 제품의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인체보호 기준의 0.4∼13% 수준에 그쳤다는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이에 환경보건시민단체는 "정부가 인체보호기준으로 삼는 국제비이온화방호선위원회(ICNIRP) 기준인 883mG가 장기적으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반영하기 어려운 기준"이라고 지적했다. 883mG 이하에서 암 발병 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보고서가 있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는 "국회가 WHO의 발암가능물질 지정 배경연구값 기준인 4mG를 국민건강 안전기준으로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손선풍기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과기정부통부는 환경보건시민센터가 구매한 모델과 똑같은 제품을 대상으로 오는 29일까지 전자파 측정실험을 하겠다고 2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환경보건시민센터의 손, 목선풍기 전자파 측정에 사용된 제품에 대해 국내외 표준절차에 따라 전자파 세기를 측정할 것"이라며 "결과를 빨리 공개해 국민들에게 생활제품 전자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측정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국제표준(IEC 62233)과 동일한 국립전파연구원 측정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뤄질 예정이다. 결과는 오는 8월 1일 발표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