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세기말 해안습지 90% 사라질수도
전세계 10억명이 생활기반을 의존하고 있는 습지가 숲보다 3배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세계 습지의 날'을 맞아 유엔이 갯벌, 늪, 하천이나 연못 주변 등 전세계 동·식물의 40%가 살고 있는 '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긴급 조처를 1일(현지시간) 촉구했다. 이미 지난 50여년간 전세계적으로 약 35%의 습지가 사라졌고, 2000년 이후 손실률이 가속화하고 있다.
습지는 지표면의 6% 정도에 불과하지만 전세계 10억명의 삶에 있어 식량, 관광, 일자리 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습지의 일종인 국내 갯벌만 놓고 보더라도 바지락, 백합 등 연간 3000톤 규모의 조개류가 생산·판매되면서 어민들의 생계를 책임진다. 갯벌 가장자리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은 오염물질을 정화하며,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 사이에서 홍수로 인한 물의 흐름을 완화하고 저장하는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
유엔환경계획(UNEP)는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금세기 말까지 갯벌을 포함한 현재 해안 습지의 약 20~90%가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갯벌은 국내에서만 자동차 11만대 배출량에 맞먹는 26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밖에도 죽은 식물들이 미생물 분해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로 쌓여 만들어진 '이탄습지'는 일반적인 숲에 비해 2배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하지만 지난 200여년간 습지는 관개시설, 도시화 등의 인간활동으로 지속적으로 파괴됐고, 기후변화까지 진행되면서 1970~2015년 전체 습지의 35%가 사라졌다. 탄소저감 효과가 높은 습지가 사라지면서 기후변화는 가속화하고 있고, 습지가 사라지는 속도도 다시 가속하는 악순환이 빚어지면서 습지는 숲이 벌목되는 속도보다 3배 빨리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엔은 습지를 되살릴 수 있는 자연기반해법 투자규모를 현행 1540억달러(약 188조원)에서 2025년 3840억달러(약 468조원) 수준으로 2배 이상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례로 중국은 침수 피해를 끊기 위해 습지를 복원하고, 건물에 '녹색지붕'(Green roof)를 얹어 빗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등 '스펀지 도시' 조성에 16조원을 투자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습지의 날을 맞아 여러 환경단체가 습지 보호를 촉구했다. 낙동강하구지키기 전국시민행동은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시는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일대 대저대교를 포함한 16개의 신규 교량 건설을 추진하는 데 이어 가덕도신공항과 제2에코델타시티 건설 등 대규모 토목건설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부산시는 자연 유산을 파괴하는 행위를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시·도지사가 지정한 습지보호지역은 전국 7개소 8254㎢에 달하지만 제주에는 단 한 곳도 없다. 제주 자연의 벗은 "제주는 한반도의 습지와 전혀 다른 특성으로 국내에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습지가 있는 지역"이라며 "제주에 지정된 5곳의 습지보호지역은 면적이 협소하고 완충지대가 보호구역으로 설정되지 않아 습지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