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온도에도 무반응…개미는 온난화 부적응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2-22 15:51:48
  • -
  • +
  • 인쇄
기후변화 영향 고스란히 노출
개미와 산림생태계 피해 우려


개미가 기후온난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달 15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 연구진은 개미들이 기온변화 대응성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먹이활동할 때 개미가 선호하는 기온이 있으나 정작 환경의 온도가 변화해도 이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진이 숲에 사는 개미 5종을 각기 다른 온도의 실험실에 넣고 관찰한 결과 개미들은 특정 온도에서의 먹이활동을 선호했다. 그러나 노스캐롤라이나의 주도 롤리 인근 숲 16곳에 다양한 먹이를 두고 관찰한 결과 대부분 선호하는 온도보다 더 뜨거운 온도에 놓인 먹이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사 영스테트(Elsa Youngsteadt)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곤충생태학자는 "개미는 무슨 일이 있어도 행동을 바꾸지 않고 정해진 일과만을 고수하고 있었다"며 그 결과 기온변화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렇듯 개미의 행동이 잘 바뀌지 않는 원인을 두고 연구진은 개별 개미의 수명이 너무 짧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충분한 온도변화를 경험하고 이것이 행동의 변화로 이어지기에는 각 세대의 수명이 짧다는 것이다.

영스테트 학자는 기온이 오르면 개미는 생존을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개미들이 이 더운 상황에서 계속 움직일 만큼 충분한 에너지가 있느냐는 점이다. 그는 "개미들의 신진대사가 빨라져 공복 빈도가 잦아지고 에너지 소모가 심해진다"며 "언젠가는 개미가 행동을 바꾸겠지만 이미 신진대사가 빨라지고 수명이 줄어드는 치명적인 수준까지 기온이 올랐음에도 이에 대응하는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곤충학자들은 개미가 기온상승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장기적인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개미가 상승하는 기온에 장기간 노출되면 개미생태와 나아가 산림생태계가 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구상 개체수가 2천조 마리 이상에 달하는 개미는 토양을 통풍시키고 씨앗을 퍼뜨리며 포식자 및 청소부 역할을 하는 등 많은 생태계의 기초를 형성한다. 영스테트 학자는 "개미는 생태계의 영양소 순환을 유지하며 만약 숲에 개미가 없다면 이 과정은 매우 더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데이비드 바세르(David Vasseur) 미국 예일대학 진화생물학자는 개미의 행동이 해당 위치의 평균 온도에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이며 개미가 이동하면서 경험할 수 있는 빠른 온도변화에는 반응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개미가 뜨거운 온도를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다면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한편 연구진은 밖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개미뿐만 아니라 개미집 내부에서도 기온상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영스테트 학자는 이번 연구가 "기온의 상승이 개미 군집과 에너지 흐름,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많은 의문을 제기한다"고 시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