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 앗아간 벼락...'습한 해변'이 더 위험하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12 11:38:28
  • -
  • +
  • 인쇄
▲양양 설악해변서 발생한 낙뢰 사고로 부상자가 이송되고 있다. (사진=강원도 소방본부)


높은 구조물이 없는 평지인 해변에서 벼락(낙뢰)을 맞아 사람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10일 오후 강원도 양양 설악해변에서 서핑을 마치고 앉아있거나 지나가던 6명은 바로 옆 바위에 내리친 벼락에 맞아 쓰러졌다. 이 가운데 조모(36)씨는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돼 심폐소생술 끝에 호흡과 맥박에 돌아왔지만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지난 11일 오전 4시 끝내 숨을 거두고 말았다. 조씨와 함께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던 노모(43)씨는 의식이 돌아왔다. 나머지 4명은 흉부 통증과 하지 감각이상 등의 증상을 보였다.

이번 경우처럼 해변같은 평지에서 벼락을 맞아 사고를 당하는 사례는 적잖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10년간 벼락으로 인한 인명사고 발생건수는 17건이다. 이 사고로 7명이 숨지고 19명이 다쳤다. 사상자 절반은 산지에서 피해를 봤지만, 골프장같은 평지에서 벼락 인명사고도 31%나 됐다. 

통상 벼락이 칠 때는 높은 구조물 아래에 있는 것이 더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큰 나무나 암벽 등에 벼락이 잘 내리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조물이 없는 평지도 사람에게 벼락이 직접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위험하다. 특히 해변처럼 습한 평지는 감전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일반적으로 바다는 육지에 비해 벼락이 칠 확률이 낮다. 벼락이 치려면 공기가 강하게 상승하면서 뇌운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바다는 육지에 비해 열 흡수율이 높아 공기가 쉽게 뜨거워지지 않아서 상승류가 비교적 약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만약 바다에 벼락이 친다면 바닷속 깊숙이 들어가는 게 제일 안전하다. 전기는 도체 표면을 흐르려는 성질이 있어 바다에 벼락이 치더라도 해수면을 따라 이동해 바닷속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물고기도 벼락이 내리칠만한 악천후가 발생하면 수심 깊숙한 곳으로 내려간다. 

벼락을 비롯한 번개는 구름에서 발생하는 방전 현상이다. 벼락은 비가 세차게 쏟아질 때나 우박이 내릴 때 칠 가능성이 높아 '우기'인 여름에 많이 발생한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벼락은 연평균 10만8719회 정도다. 지난해에만 3만6750회가 관측됐는데 90%가 5~8월에 발생했다.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가 내린다고 예보가 되면 가급적 바깥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만약 번개가 치고 30초 내 천둥이 울리면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빛의 속도는 30만㎧이고 음속은 330㎧로 번개가 치고 30초 이내에 천둥이 울렸다면 매우 가까운 곳에서 번개가 발생했다는 의미다. 번개가 번쩍이고 6~7초 후 천둥이 들렸다면 약 2㎞ 거리에서 번개가 친 것이다.

마지막 천둥이 울리고 30분이 지난 뒤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벼락이 치는 경우 우산·등산스틱·골프채 등 벼락을 유도할 수 있는 긴 물건은 몸에서 떨어뜨려야 한다. 벼락 맞기 쉬운 나무나 정자 아래는 피하고 건물이나 자동차 안으로 대피해야 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기후/환경

+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