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끔찍한 생태학살"...우크라 댐 붕괴로 흑해 연안은 '쓰레기장'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6-12 15:12:13
  • -
  • +
  • 인쇄
▲일부 구조물만 남은 카호우카 댐. 지난 6일 우크라 헤르손주의 카호우카 댐이 붕괴해 인근 마을들이 침수됐다. (사진=연합뉴스)

▲카호우카댐 붕괴로 침수된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 마을에 잔해들이 떠다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카호우카댐이 파괴되면서 흑해 연안이 물에 휩쓸려온 각종 잔해더미로 '쓰레기장'으로 변했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카호우카댐 붕괴로 침수됐던 남부 헤르손주의 노바 카호우카시에서 홍수로 인한 물이 거의 다 빠졌지만 흑해 연안 항구도시 오데사 해안이 드니프로 강을 따라 떠밀려온 쓰레기에 뒤덮이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6일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에 위치한 카호우카댐 붕괴로 드니프로강 하류의 마을 및 농경지가 대거 침수돼 주민 7명이 실종되고 수만명이 대피했다. CNN은 댐 붕괴로 막대한 환경피해가 발생하고 수만 명의 사람이 전력과 깨끗한 물을 쓰지 못하는 상태가 됐다고 보도했다.

올렉산드르 프로쿠딘(Oleksandr Prokudin) 우크라이나 지역군정청장은 지난 10일 텔레그램에서 붕괴 이후 헤르손주에서 어린이 178명 포함 총 2699명이 대피했다고 밝혔다.

우크라 내무부는 흑해 연안뿐만 아니라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마르하네츠, 니코폴, 포크롭스크 및 흐루시우카 지역사회에 물 공급이 일부 중단됐으며 니코폴 인근 철도 선로가 파괴됐다고 보고했다. 우크라 국가비상사태국에 따르면 주민 379명이 살고 있는 미콜라이우 아파나시우카 마을은 진입로가 완전히 끊겼다.

현재 헤르손주 침수지역은 거의 절반으로 줄어 평균 수위가 27cm 감소한 4.45m지만 드니프로 강 서안의 32개 정착촌이 여전히 침수돼있고 주거용 건물 3784채가 물에 잠겨있다. 홍수 피해지역은 복구되고 있지만 흑해 연안은 카호우카 댐 붕괴로 인해 심각한 오염 위기에 처했다.

프로쿠딘 지역군정청장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서 채취된 물의 유해물질 농도는 허용 기준치보다 10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수영과 낚시가 금지됐으며 사람들은 병에 담긴 생수만 마시도록 권고받고 있다.

카호우카 댐 붕괴는 수십 년만에 일어난 유럽 최대의 산업·생태재해 중 하나로 지적됐다. 우크라 내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많은 지뢰와 탄약, 기타 폭발물이 해안에 버려지고 해당 구역 어류에 전염병이 도는 것도 확인했다"며 "끔찍한 생태학살의 결과"라고 일침했다.

미국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의 마지막 원자로도 사고 예방조치로 8일 폐쇄됐다.

그러나 댐 붕괴의 원인이 러시아의 공격 때문인지 구조적 결함으로 붕괴했는지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우크라와 러시아는 댐 붕괴의 책임을 상대방에게 돌리며 맞서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는 10일 댐 붕괴를 "우크라군의 조직적 공격" 탓으로 돌리는 성명을 발표했다. 우크라군이 카호우카 수력발전소를 정기적으로 공격하면서 구조물이 파괴됐다는 주장이다.

프로쿠딘 지역군정청장은 러시아에 점령된 동부 제방의 상황도 위급하다며 "현재 14개의 정착촌이 물에 잠겼지만 (러시아) 점령 당국이 대피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우크라 대통령은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 지역에서 댐 붕괴 희생자를 구출하기 위한 국제적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10일 밤 연설에서 "러시아는 점령중인 침수지역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군이 러시아 통제하에 있는 헤르손 침수지역에 접근하려는 우크라 구조대원들에게 총격을 가했다고 비난한 바 있다.

러시아가 노바 카호우카시를 점령한 뒤 임명한 블라디미르 리온티예프 시장은 러시아방송 RBC와의 인터뷰에서 "아직 지하실에 남은 물을 퍼내고 에너지를 공급하기 시작했다"며 일주일 내에 시내 일상활동이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6일까지 드니프로강 수위가 과거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기후/환경

+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올 7월 한반도 평균기온 27.1℃...'역대 두번째로 더웠다'

우리나라의 올 7월은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더웠다.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나타났다. '20세기 최악의 더위'가 나타난

[날씨] '폭염과 폭우' 급변하는 날씨...6일 120㎜ 폭우 예보

5일 낮기온이 36℃까지 치솟는 폭염이었다가 수요일인 6일은 최대 120㎜의 폭우가 퍼붓는 종잡을 수 없는 날씨를 보이겠다.고온다습한 남풍의 유입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