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죽은 새끼 뺏길까봐...등에 업고 도망치는 남방큰돌고래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8-17 11:03:26
  • -
  • +
  • 인쇄
▲죽은 새끼를 등에 업고 이동하는 어미 돌고래 (영상=핫핑크돌핀스)

제주 바다에서 멸종위기종인 남방큰돌고래가 죽은 새끼를 등에 업고 이동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17일 제주 서귀포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5일 낮 12시께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 인근 해상에서 돌고래가 폐그물에 걸린 채 이동하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해경은 폐그물을 절단하기 위해 입수해 돌고래에 접근했는데, 가까이서 확인해보니 돌고래 등에 걸려있던 것은 폐그물이 아닌 새끼 돌고래의 사체였다. 구조대원이 접근하자 돌고래는 죽은 새끼를 뺏기지 않으려고 업고 있던 사체를 이리저리 옮기며 이동했다.

업혀있던 돌고래 사체는 1m 내외의 남방큰돌고래로, 고래연구팀에 문의한 결과 새끼 돌고래일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지난 3월과 5월에도 태어난지 얼마 안돼 죽은 새끼를 등지느러미에 업고 다니던 돌고래가 발견된 적이 있었다.

이처럼 남방큰돌고래가 죽은 새끼를 머리에 이거나 업고 다니는 모습은 아주 드물게 포착되고 있다. 국내에선 2017년과 2018년에도 한 차례씩 관찰된 바 있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는 지난 2020년 6월 제주시 구좌읍 연안에서 남방큰돌고래 조사과정 중 죽은 새끼를 업고 다니는 어미 돌고래의 행동을 촬영해 공개한 적도 있다. 당시 어미는 자신의 몸에서 사체가 떨어지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새끼를 주둥이 위에 얹거나 등에 업고 유영하기를 반복했다고 한다.

새끼 사체는 지난 16일 대정읍 무릉리 해안가로 떠밀려와 해경이 지자체에 인계했다.

한편 동물보호단체 핫핑크돌핀스는 해당 돌고래 관측을 위해 찾아간 현장에서 관광선박 4척이 동시에 돌고래 관광을 하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밝혔다.

단체 측은 성명서를 통해 "돌고래들을 따라 몰려다니는 관광선박으로 인해 남방큰돌고래들은 제대로 쉬지 못하고 먹이활동에도 지장을 받는다"며 "멸종위기종인 돌고래들이 제주 바다에서 인간과 오랫동안 공존할 수 있도록 서식처 일대를 해양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선박관광을 금지시켜야 한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기후/환경

+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호주 2300km 산호군락지 '하얗게 변색'...해양폭염으로 역대급 피해

올초부터 이어진 해양폭염으로 호주 전역의 산호초가 백화현상을 겪고 있는 가운데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는 관측 이래 가장 심각한 산호 감소가 확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