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상승하면 생물 30% 멸종...탈탄소 투자 150% 늘려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9-15 11:58:26
  • -
  • +
  • 인쇄
우드맥킨지 "지금 추세면 2070년 탄소중립"
배출량 많은 韓 등 주요 7개국 대응이 중요

지금 이대로 기온이 상승하면 금세기말 지구 평균기온은 2.5℃까지 치솟기 때문에 2023~2050년 연간 탈탄소 투자액을 현재보다 150%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우드맥킨지가 14일(현지시간) 발간한 '에너지전환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에 이르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전세계가 넷제로를 2050년 달성했을 때 1.5℃, 2060년 달성했을 때 2℃, 2070년 달성했을 때 2.5℃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로선 전세계가 2070년 넷제로를 달성해 2100년 평균기온이 2.5℃ 오르는 시나리오가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의 물가상승을 완화하기 위해 에너지 인프라 개편이 늦어지고 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공급 공백을 메우기 위해 화석연료 산업에 계속 자금이 투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국립과학원회보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2.5℃에 이르면 전체 생물종의 20~30%가 멸종위기에 처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산하 그랜덤 기후변화연구소는 이런 상황에 닥쳤을 때 전세계 금융자산의 16.9%인 24조달러(약 3경1900조원)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같은 파국을 막으려면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로 제한하는 것이 시급하다. 현재 연간 1조9000억달러(약 2521조원)를 투입하는 전세계 탈탄소 투자액을 당장 2조7000억달러(약 3584조원) 규모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우드맥킨지 시나리오에 따르면 2023년 에너지부문 배출량이 정점에 달한 뒤 2030년 16% 감축되고, 2047년 중동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넷제로를 달성하게 된다. 화석연료의 에너지공급 비율은 20%로 떨어지고, 에너지의 80%를 태양광, 풍력, 원자력, 지력, 수소 등이 담당하게 된다. 끝까지 잔존할 가능성이 높은 화석연료인 천연가스는 탄소포집·저장(CCUS)이나 자연기반 해법으로 상쇄된다.

문제는 이같은 시나리오가 적시에 안보문제를 해결하고, 국제협력을 통해 신규기술의 개발과 규모의 경제 달성이 이뤄졌을 때 가능하다는 게 맥킨지의 지적이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해 유럽, 미국, 중국, 호주, 일본, 인도 등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7개 주요 시장에서의 책임을 강조했다.

사이먼 플라워스 우드맥킨지 수석연구원은 "1.5℃ 목표 달성은 극도로 도전적인 과제지만, 불가능하지 않다"며 "다만 2030년까지 내려지는 결정들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