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정비 가능한 '현대차 블루핸즈' 1000곳으로 늘었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14 09:48:56
  • -
  • +
  • 인쇄
▲현대차는 전기자동차를 정비하는 '블루핸즈'를 1000곳으로 늘렸다.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가 전기자동차 정비가 가능한 '블루핸즈' 거점을 전국에 걸쳐 1000곳으로 확대했다.

14일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514개에 불과하던 전기자동차 정비가 가능한 '블루핸즈'의 수를 1000개소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블루핸즈'는 전국적으로 1200여곳에 이르지만, 지난해까지 전기차를 정비해줄 수 있는 곳은 514곳에 불과했는데 이번에 이를 확충한 것이다.

전기차 정비가 가능한 '블루핸즈'에는 전용 정비작업장이 구축돼 있다. 엔지니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안전장비 5종 세트(절연복, 절연 안전모, 절연 매트, 절연장갑, 보호안경/보호대)와 특수공구 등을 완비하고 있다.

또 지난해 도입된 독자적인 전기차 정비 기술인증제인 '현대 전동차 마스터 인증 프로그램'(HMCPe, Hyundai Master Certification Program Electrified)을 수료한 엔지니어가 최소 1명 이상 배치돼 체계적인 정비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차는 전동차 정비 전문가 육성을 통해 정비 기술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다가올 전동화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현대차는 전국 권역별 주요 대학과 연계해 블루핸즈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고전압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 △고장 진단 등이 포함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 3월 고용노동부 및 블루핸즈와 '전동차 정비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동차 정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중에 있다. 블루핸즈는 해당 프로그램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교육생을 추후 엔지니어로 채용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전기차 정비가 가능한 블루핸즈의 수를 지속 유지해 고객들께서 전국 어디서나 안심하고 정비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게 하겠다"며 "전기차 정비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더욱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는 수소전기차 정비 인프라 확대를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115개의 블루핸즈에 수소전기차 전용 정비작업장을 비롯해 수소 강제 배출 어댑터, 수소라인 잔류 압력제거 튜브 등 수소전기차 수리에 필요한 전용장비 13종을 도입했으며, 향후 수소전기차 보급 추이를 고려해 정비 인프라 확대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사회혁신기업 지원한다...'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

하나금융그룹이 사회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를 지난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개최했다고

우리은행, 기후취약계층에 한파대응 물품과 김장김치 전달

우리은행이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겨울나기를 돕는 데 나섰다.우리은행은 홀몸어르신, 쪽방촌 저소득주민, 장애인 가구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따뜻

쉐코 해상방제로봇 'CES 2024' 2개부문 혁신상 수상

SK이노베이션이 육성하는 환경소셜벤처 쉐코가 내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4'를 앞두고 발표된 'CES 혁

토요타·폭스바겐·현대기아...SUV 판매증가로 탄소저감 노력 '물거품'

연비가 낮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비중이 늘면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전기차 판매로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압도하고 있어 자동차 제조기업들

KT, ESG 벤처지원 프로그램 '따뜻한기술더하기' 성과공유회 개최

KT가 '따뜻한기술더하기' 챌린지의 6개월간 일정을 마치고 참여한 기업의 결과물을 공유하는 '최종 성과 공유회'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따뜻한기술

제주도, 쓰레기로 12억원 벌었다

제주도가 올해 쓰레기를 수거해 12억원 이상 벌었다.28일 제주도는 올해 10월말까지 제주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로 반입된 재활용품 5687톤 가운데 4944톤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