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 주범으로 몰린 펩시코…"환경·건강피해 배상하라" 피소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16 16:52:10
  • -
  • +
  • 인쇄
폐기물 수거결과 펩시코 1위...맥도날드 3배
2022년에는 신재플라스틱 사용량 11% 늘어


주력 상품 '펩시콜라'로 유명한 글로벌 식음료기업 펩시코(PepsiCo)가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로 강물을 더럽힌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몰려 피소당했다.

15일(현지시간)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은 펩시코를 상대로 주 대법원에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일회용 페트병, 뚜껑, 포장라벨 등이 뉴욕주의 식수원인 버팔로강을 더럽히고 있고,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한다는 이유에서다.

제임스 법무장관은 이날 "모든 뉴욕 시민들은 깨끗한 물을 마실 기본권이 보장돼 있음에도 펩시코는 무책임한 포장 및 마케팅 정책으로 일관하며 버팔로강을 통한 물 수급, 환경, 공중보건을 위험에 빠뜨렸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뉴욕주 법무장관실이 실시한 플라스틱 폐기물 오염 조사에 따르면 펩시코가 가장 큰 원인 제공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버팔로강에서 수거된 플라스틱 쓰레기 1916개 가운데 17%가 펩시콜라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뒤로 맥도날드와 허쉬가 각각 5.7%와 4.2%로 순위를 이었다. 펩시코가 2위인 맥도날드보다 3배 더 많은 폐기물을 배출한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8~2022년 미국 환경단체 플라스틱추방연대(BFFP, Break Free From Plastic)가 2373차례의 수거활동을 통해 212만5415개의 플라스틱 폐기물 분석했는데, 펩시코는 이 조사에서도 지속적으로 폐기물 배출량 1위 혹은 2위로 지목됐다.

제임스 법무장관은 소장에 "펩시코는 일회용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건강영향에 관해 소비자들에게 경고하지 않았고, 플라스틱 오염 방지 노력에 관해 대중들을 호도했으며, 지난 2022년에는 신재 플라스틱 사용량을 11% 늘렸다"는 내용을 담아 손해배상 부과와 함께 환경문제에 대한 경고문 없는 펩시코의 일회용 플라스틱병 사용 중단 결정을 내려줄 것을 법원에 요청했다.

이에 대해 펩시코는 성명을 내 "당사는 플라스틱 저감과 효율적인 재활용에 대해 진지한 자세로 임하고 있고,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거나 새로운 포장재 혁신을 가속하는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며 "다만 플라스틱 문제는 기업, 지자체, 폐기물 처리업체, 소비자들이 함께 동참해야 하는 매우 복잡한 이슈로 현재 여러 주체들과 재활용 기반시설과 소비자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주체들과 노력중"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