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경제성장은 기후변화 더 '부채질'?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12-20 15:44:07
  • -
  • +
  • 인쇄

산업화 이전보다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제한하자는 파리기후변화협정을 이행하려면 전세계 각국은 고성장에 매달리지 말고 복지와 생태계 개선을 힘을 쏟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대학교(University of Barcelona) 환경과학기술연구소(ICTA-UAB)가 국제학술지 원어스(One Earth)에 게재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각국이 2023년~2030년 경제성장이 높일수록 파리협정을 달성할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경제성장률을 낮추면 파리협정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연구팀은 "기존의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고성장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했다"며 "그러나 이같은 시나리오들은 성장 자체가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동인인 것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탄소중립 계획은 연 4%의 세계 경제성장을 가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같은 계획들은 실제 시행되더라도 파리협정 목표와는 양립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논문의 수석저자 알요사 슬래머삭(Aljoša Slameršak) ICTA-UAB 연구원은 "온난화를 1.5°C로 제한할 수 있을 만큼 전세계 배출량을 빠르게 줄이려면 성장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고소득 국가들이 저성장 국면으로 전환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경제성장률이 낮을수록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니엘 오닐(Daniel O'Neill) 바르셀로나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저성장 시나리오와 고성장 시나리오를 비교한 결과,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는 것만으로도 2030년까지 CO2 배출량을 10~13% 줄일 수 있다"며 "부유한 국가들이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것을 포기한다면 기후위기와 탄소중립간 간극을 상당히 좁힐 수 있다"고 밝혔다.

▲ 그래프가 경제성장과 탄소중립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ICTA-UAB)

다만 연구진은 "이는 경제성장의 기후영향에 대한 거시적 국제분석"이라며 "실제로는 국가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짚었다. 제이슨 히켈(Jason Hickel)  ICTA-UAB 연구원은 "우리의 시나리오는 기후위기 완화 책임과 경제 개발 요구를 둘러싼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 간의 차이를 설명하지 못한다"며 "이러한 측면에서 저소득 국가는 더 높은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반면, 고소득 국가는 성장 후 수요감소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성장 후 수요감소'란 국민 복지와 지속가능성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생산에는 우선순위를 두는 반면, 사치품 등 불필요한 물품의 생산과 소비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히켈 연구원은 "성장 후 수요감소의 주요 특징은 불평등 감소, 필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접근성, 저탄소 에너지 전환을 위한 공공투자 증가로 요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르고스 칼리스(Giorgos Kallis) ICTA-UAB 연구원은 "성장을 추구하는 것은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약한다"며 "고소득 국가의 정책 입안자들은 고성장을 목표로 삼는 것을 포기하고, 성장 이후의 정책을 고려해 복지와 생태계 개선을 달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그는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경제부문과 활동이 탄소배출량과 사회 복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명확하게 밝히려고 한다"며 "이를 통해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부문과 활동을 줄이거나 늘려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