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목표' 선언한 기업 44% 늘었지만...입증가능 기업 고작 '0.6%'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6-19 15:41:48
  • -
  • +
  • 인쇄
CDP 2만3200개 기업 기후공시 조사결과
전환계획 5906곳...입증지표 공개 140곳

'1.5℃ 목표'에 부응하겠다고 선언하는 기업들은 빠르게 늘고 있지만, 이를 입증할만한 정보를 공개하는 기업은 1%도 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현지시간)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가 전세계 2만3200개 기업들의 2023년 기후공시 자료를 조사한 결과, 국제사회의 '1.5℃ 목표'에 맞게 사업을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기업은 전체의 4분의 1가량인 5906곳이었다. 이는 전년대비 44% 늘어난 수치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목표를 선언한 기업들이 이를 실제로 달성해낼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라는 지적이다. CDP는 공급망 배출량, 이사회의 관리감독 권한 등 각 기업들이 제출한 계획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21개 핵심지표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 지표를 전부 공개한 기업은 140곳으로 전체의 0.6%에 불과하다. 21개 지표 가운데 14~20개를 공개한 기업은 2189곳, 공개한 지표가 14개 미만인 기업은 3717곳이다.

CDP는 기후대응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된 만큼 신뢰할 수 있는 기후공시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난해 12월 유엔은 현행 추세로 가면 전세계 평균기온 상승폭은 2.9℃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기후공시 의무화가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결국 신뢰할 수 있는 전환계획과 계획의 이행수준은 기업의 성공을 판가름하는 기준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다만 CDP는 21개 지표를 모두 공개한 기업들도 81곳에서 140곳으로 늘어나 전년대비 42% 증가했기 때문에 이 역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 또 21개 지표를 모두 공개한 기업들 가운데 25개 기업은 2년 이내에 계획을 빠르게 완성할 수 있었다는 점을 들어 전반적인 추세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CDP 셰리 마데라 CEO는 "지난 2023년 CDP에 전환계획을 보고한 기업들의 증가폭이 50% 가까이 늘어나면서 기후대응에 확고하게 전념하는 모습에 대한 데이터가 기업이 시장 이해관계자들과 신뢰를 쌓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음이 분명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의 FTS유로퍼스트 300과 한국의 KOSPI 200 기업들은 CDP 핵심지표를 14개 이상 공개한 기업이 각각 77%, 75%로 주요 20개국(G20) 성적을 상회한 반면,  캐나다의 S&P/TSX 60, CSI 300은 각각 28%, 29% 수준으로 G20 가운데 성적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