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빨래도 청소도 '척척'...5600억 투자받은 가사로봇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11-19 12:23:43
  • -
  • +
  • 인쇄
▲빨래를 꺼내고 하나씩 개기까지 하는 피지컬 인텔리전스 로봇 (영상=피지컬 인텔리전스 X 캡처)

로봇이 건조기에서 세탁물을 꺼내더니 능숙하게 빨래를 개고, 설거지할 그릇을 설거지통에 가져다놓는 등 사람 못지않게 가사일을 척척 해냈다. 이 로봇은 특정행동을 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를 통해 스스로 판단해서 행동한다는 점이 기존의 다른 로봇들과 다르다. 

이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회사가 바로 미국의 AI스타트업 피지컬 인텔리전스(Physical Intelligence)다. 구글에서 로봇공학을 담당했던 해롤 하우스만이 올초 창업한 이 회사는 최근 굴지의 투자자들로부터 무려 5600억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유치하면서 미국 언론에서 대서특필이 될 정도로 화제의 중심에 섰다. 이 회사가 유치한 투자금은 올해 미국에 설립된 스타트업들의 투자금을 모두 합친 것보다 5배나 많기 때문이다.

투자금뿐 아니라 투자자들도 주목을 끌었다. 챗GPT 제작사 오픈AI를 비롯해, 벤처캐피털 쓰라이브캐피털 등이 이 회사에 투자했고,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도 주요 투자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피지컬 인텔리전스가 창업 8개월만에 미국 창업투자 시장의 블루칩으로 떠오를 수 있었던 것은 이 회사가 가진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기술력 때문이다. 피지컬 인텔리전스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파이제로'를 개발한 곳이다. 최근 이 회사는 '파이제로'가 적용된 로봇 영상을 공개했고, 이 영상 하나로 5600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영상은 등장하는 로봇은 세탁기에서 빨래를 꺼내서 스스로 그것을 개고, 테이블 위에 있는 그릇을 설겆이통에 가져다놓고 테이블을 행주로 닦는다. 그리고 쓰레기를 치우고, 골판지 상자도 만들는 모습을 보여줬다. 당장 가사도우미로 사용해도 손색이 없을만큼 로봇의 행동은 부자연스럽지 않고 군더더기가 없었다.

로봇이 테이블 위에 빨래를 접는 것처럼 정해진 동작은 가능하지만, 건조기 속에 뒤엉켜있는 세탁물을 꺼내 한 장씩 분리하고 이를 하나씩 개는 일련의 동작은 기존 로봇과 큰 차이가 있다. 기존 로봇제작은 로봇의 특정행동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했지만, 피지컬 인텔리전스는 모든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 알고리즘을 개발한 것이다. 피지컬 인텔리전스의 해롤 하우스만 CEO는 "우리가 만드는 것은 특정 로봇의 두뇌가 아닌 모든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 두뇌'"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피지컬 인텔리전스가 '파이제로'를 기반으로 이 로봇을 완성하는데 8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는 사실에 투자업계는 더 놀라고 있다. 피지컬 인텔리전스는 "이번에 선보인 로봇은 아직 개발 초기단계일뿐 우리가 갈 길은 아직 멀다"라며 "내년에는 모든 방향에서 더 큰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기후/환경

+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