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북극 동시베리아해에서 육상 기원 물질의 유입이 대폭 늘어난 현상을 포착했다고 29일 밝혔다. 시베리아에서 북극해로 흘러드는 강물과 유기물, 토사 등이 이전보다 훨씬 동쪽까지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로 북극에서 관측한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2022년 시베리아 강물과 육상 기원 물질이 2019년보다 동쪽으로 500~600km 더 멀리 퍼져 동시베리아해까지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동시베리아해에서 관측된 강물과 육상 기원 물질의 양은 각각 37%, 29% 증가했다.
주요 원인은 기후변화로 북극 보퍼트해에서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해류인 '보퍼트 자이어'가 약화된 점이 지목됐다.
평상시 보퍼트 자이어는 시베리아 강물이 동쪽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지만, 2022년 북극 동시베리아해에서 강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보퍼트 자이어의 세기가 약해졌다. 그 결과 북극해 표층 해류가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강물과 육상 기원 물질도 함께 동시베리아해까지 확산된 것으로 분석됐다.
동시베리아해는 태평양에서 북서항로로 진입할 때 처음 마주하는 전략적 해역으로, 유입되는 유기물이 늘어나면 해양생태계 변화뿐 아니라 운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기물은 태양빛을 흡수해 표층 수온을 높일 수 있는데, 이는 해빙 형성 시기를 변화시켜 북극항로 개방 시점이나 항해 조건을 좌우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현상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기후변화로 해빙 감소와 함께 대기 순환 패턴이 더욱 빠르게 변하면서 북극해 내 물질 이동 경로가 구조적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미해 연수연구원은 "하천수와 육상 기원 물질의 유입은 해양생태계 변화로 이어질 수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지속적인 관측과 변화 추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