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불법체류 혐의로 체포됐던 316명의 한국인 근로자들이 구금 1주일만에 한국행 전세기에 오른다.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체류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은 구금된 이들이 11일 정오에 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현 장관은 이날 오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면담한데 이어, 오후에는 앤디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 겸 부통령 안보보좌관을 만났다. 조 장관은 "이분들이 다시 미국에 와서 일을 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것도 (미국 측으로부터) 확약받았다"며, 재입국시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인 전문인력에 대한 비자 문제와 관련해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과의 면담에서 한미간 워킹그룹을 만들어 비자 신설에 대해 신속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당초 현지시간으로 9일 자진출국 형태로 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예정이었지만 미국측 사정으로 연기됐다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미국 이민 당국이 현행법에 따라 이들이 이동과정에 수갑을 채워야 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수갑을 채우지 않기로 했다.
주미대사관 브리핑에 따르면 '미국측 사정'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일하면서 미국의 인력을 교육·훈련 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기 때문이라는 게 연합뉴스의 보도다.
이에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재입국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고, 루비오 장관은 우리 의견을 존중해 귀국조치하도록 한 것이라는 미국측 전언이다.
또 구금됐던 사람들이 미국에 재입국하더라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불법체류 기록도 남기지 않도록 조치하겠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외교부 관계자는 말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 당국의 엄격한 호송 규정에도 우리가 강력히 요청한 대로 수갑 등의 신체적 속박 없이 구금 시설에서 공항으로 호송할 것을 지시했다"며 애초 수갑 문제는 지연 사유가 아니었다고 밝혔다. 다만 "(수갑 문제는) 해결이 안된 상황이었지만, 그 상황이 출국 지연과는 관련이 없다"고 했다.
구금된 한국인은 총 317명(남성 307명, 여성 10명)으로 이 가운데 1명이 '자진귀국'을 선택하지 않고 잔류를 선택했다. 아울러 외국 국적자 14명(중국 10명, 일본 3명, 인도네시아 1명)을 포함해 330명이 한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이번 구금 사태는 지난 4일 미국 국토안보수사국(HSI)과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조지아주에 있는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을 급습하면서 비롯됐다. 미 이민당국은 장갑차와 헬리콥터까지 동원해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한 근로자 475명을 불법체류자로 체포·구금했다. 체포사유는 여행용 전자여행허가제(ESTA) 비자와 상용·관광 비자인 B1, B2 비자로 입국한 사람들이 근무했다는 것이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