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산업 진출을 선언한 LG가 달 탐사용 차량에 탑재할 우주용 부품을 처음 선보였다.
LG는 17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개최한 스타트업 발굴·육성 행사 '슈퍼스타트 데이 2025'에서 달 탐사용 차량 '로버'를 비롯한 우주 산업 실증 사업 성과를 공개했다.
슈퍼스타트 데이는 LG의 R&D 혁신 기지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출범과 동시에 시작된 스타트업 육성·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로 올해 참여 의사를 밝힌 업체만 1800여곳에 이른다.
LG와 국내 우주 스타트업인 '무인탐사연구소'(UEL)가 함께 개발중인 달 탐사 로버에는 LG의 카메라 모듈과 배터리 셀, 통신 모듈용 안테나 등이 탑재될 예정이다. 카메라 모듈은 오는 11월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에, 배터리 셀·통신 모듈용 안테나는 내년 6월 예정인 누리호 5차 발사에 각각 들어가 우주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는 지 실증될 계획이다.
처음부터 우주용 제품을 개발·제작하는 방식보다 기존 양산형을 우주 환경에 맞춰 보완해 나아가는 게 비용과 시간 모두 효율적이라는 것이 LG 측 설명이다. UEL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2032년 달 착률을 목표로 한 우주 산업 속도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LG그룹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우주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아직 계열사별 구체적 역할을 확정하지는 않은 단계"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실증은 민간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의 시작을 알리며 우주 산업의 속도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LG는 지난 6월 우주항공청과 간담회에서 달 착륙 계획을 공개하고, 이후로도 우주 자산 유지·보수 스타트업 '워커린스페이스', 우주광통신 업체 '스페이스빔', 심우주항법용 인공지능(AI) 영상 분석 업체 '텔레픽스' 등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등 우주 산업을 향한 열의를 내비치고 있다. 2016년에는 계열사인 LG에너지솔루션이 NASA 우주 탐사용 우주복에 리튬이온배터리 공급 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편, 이날 8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22개 스타트업과 LG와 협업중인 10개 스타트업들은 성과를 공개하고 LG 계열사·기관·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협력 및 투자 유치 기회를 모색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