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
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 온실가스 국제권고안인 2035년까지 60%로 감축하는 것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17.2%가 '매우동의' 44.6%가 '동의하는편'이라고 답했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28.1%로, 이를 다 합치면 89.8%가 된다. '동의하지 않거나 전혀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은 10.3%에 머물렀다.
'동의한다'고 답한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이미 폭염, 홍수, 산불 등이 심각해지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고 답한 사람이 50.7%를 차지했다. "미래 세대를 위해 지금 세대가 책임지고 온실가스를 줄여야"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42.6%, "기후위기 대응이 늦어질수록 비용과 사회적 피해가 커지기 때문에"이라고 답한 비율도 40.0%에 달했다.
이재명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추진' 정책에 대한 지지 여부에서도 69.4%가 '지지한다'고 답해 '지지하지 않는다'는 16.6%의 응답률을 훨씬 앞질렀다. 이재명 정부의 기후대응 의지에 대한 질문에서도 45.3%가 높게 평가했다.
'기후변화 체감 정도'에 대해선 대다수가 이미 몸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실히 체감하고 있다'는 응답률이 33.3%에 달했고 '대체로 체감하는 편이다'는 응답율도 55.9%였다. 응답자의 89.2%가 기후변화를 이미 몸소 겪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건강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으로 보인다. 관련 질문에서 응답자의 80.7%가 '그렇다'고 답했다. 같은 기준으로 경제가 영향을 받고 있다는 응답도 77.9%였으며, 10명 가운데 7명(70.8%)도 주거지역이 이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 정부는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제출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를 수립중이다. 앞서 우리나라는 '2030 NDC'에서 감축목표를 2018년 대비 40%로 잡은 바 있다. 이에 따라 2035 NDC 감축목표를 이보다 훨씬 높은 60% 이상으로 수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국회와 시민환경단체들로부터 잇따르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이번 설문조사가 보여주듯 정부는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60% 이상으로 정해야 한다는 것이 다수의 분명한 의견"이라며 "정부는 이번 목표가 기후위기 대응은 물론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전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4개 안 가운데 61% 이상의 목표를 선정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