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초소형 기지국을 이용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을 겪었던 KT에서 서버 침해 정황까지 확인됐다.
19일 KT는 전날 23시57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서버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SK텔레콤 서버 해킹 사고 발생 이후 KT는 실태 점검을 위해 외부 보안전문 업체에 의뢰해 전사 서버를 대상으로 약 4개월간 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KT 측은 "향후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해 조속한 시일 내에 침해 서버를 확정하고 구체적 침해 내용과 원인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서비스(SNS)에는 불만이 터져나왔다. KT 가입자로 보이는 한 누리꾼은 "아니 유심 사태 터지고 통신사 갈아탔더니 여기도 구멍난 배였네"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이밖에도 "개인정보가 공공재냐 다 털리게", "통신사들 안심이라는 말이 소고기 부위 말한 거였나" 등 비난 섞인 글들이 쏟아졌다.
통신사에서 잇따라 해킹 사고가 벌어지자 정부는 엄중한 상황 인식을 밝히고 범부처 차원의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는 이날 통신사·금융사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한 합동 브리핑에서 조속한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제명 과기부 2차관은 우선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해 "민관합동조사단이 사고 원인을 신속하고 철저히 분석해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며 "현재 조사단은 해커의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어떻게 KT 내부망에 접속할 수 있었는지, 개인정보는 어떤 경로로 확보했는지를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업이 고의로 침해 사실을 지연 신고하거나 미신고하면 과태료 등 처분을 강화하겠다"면서 "기업 신고 없이도 정황을 확보한 경우 정부가 철저히 조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수도권 서부에서 KT 가입자 362명을 대상으로 무단 소액결제를 진행해 약 2억4000만원 규모의 피해를 입힌 해킹범 2명이 지난 16일과 18일 각각 체포됐다. 40대 중국동포인 A씨와 B씨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 장비를 차에 싣고 다니면서 수도권 특정 지역 KT 가입자 휴대전화를 해킹해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소액 결제를 진행했고, 해당 소액 결제 건을 현금화하는 식으로 범행을 저질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