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647개 정부서비스 가운데 29일 오전 9시 기준 47개 서비스가 복구됐다. 복구율이 약 7.3% 수준이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우체국 금융과 우편서비스, 모바일 신분증과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국정관리시스템, 보건의료빅데이터 시스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국가화재정보시스템 등 47개 서비스가 복구됐다.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정부24도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647개 서비스 가운데 화재에 직접 피해를 입은 서비스는 96개다. 이에 행안부는 국민 안전과 재산,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복구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27일 오후 6시에 화재가 완전히 진화되자, 곧바로 복구작업을 시작해 이튿날인 28일 오전 5시30분께 건물 2~4층 항온항습기 복구를 완료됐다. 이후 오전 11시25분쯤 네트워크와 보안장비 가동을 시작하면서 시스템이 순차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다. 화재에 직접 피해가 없는 551개 서비스는 항온항습기 중단에 의해 정지된 것인 만큼 비교적 빠르게 복구되고 있다.
하지만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은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해야 하기 때문에 복구하기까지 최소 2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이 여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행히 추석을 맞아 물동량이 급증하는 우편서비스는 정상화돼 한시름 놓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우편서비스 상당수가 복구됐다"며 "편지·소포·국제우편 서비스 등 이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우체국 창구 방문을 통한 소포 및 국제우편을 포함한 우편물 접수와 인터넷 및 모바일 서비스, 우편물 배달 및 종적조회 등 서비스가 우선 재개된다.
다만 최근 서비스를 고도화한 미국행 국제특급 우편서비스(EMS)를 비롯해 우체국 쇼핑, 기관 연계 전자우편, 착불·안심소포, 신선식품 소포, 수탁사업 등 일부 업무는 당분간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일부 행정망 복구가 지연되면서 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2차로 진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온라인 문의나 이의신청이 불가능해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한다. 또 전국 화장시설 예약서비스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현재 불통이어서 개별 화장장에 온라인이나 유선으로 직접 신청해야 된다.
이날 세종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국민에게 머리를 깊이 숙여 사과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전소된 96개 시스템은 바로 재가동이 쉽지 않다"며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 복구를 추진해 최대한 신속하게 대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장관은 96개 시스템이 이전될 국정자원 대구센터를 찾아 현장점검을 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