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간격 따라 효능 '들쑥날쑥'...아스트라제네카, 안심해도 되나?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6 19:16:56
  • -
  • +
  • 인쇄

영국 의학저널 '란셋'(The Lancet)에 게재된 논문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과 2차 접종 사이 3개월 간격을 두는 게 더 효능이 높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백신 공급에 차질을 빚던 국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백신 개발 초기부터 각국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보관 및 운송이 쉽다. 각각 영하 70도, 영하 20도를 유지해야 하는 화이자와 모더나와는 달리 아스트라제네카는 가정용 냉장고에서 보관 가능하다. 또 약 20달러의 화이자와 모더나에 비해 아스트라제네카는 2.5달러로 백신 공급 계약을 맺어 저렴하다.

그러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공급 부족은 유럽연합(EU)의 1분기 접종 계획을 좌초시켰다. 1월~3월 사이 공급 예정이었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억회분의 약 60% 분량이 배달되지 않았던 것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이번 연구 결과가 각국 정부의 의료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낼 것으로 보인다. 백신 접종 간격이 길어지면 2차 접종분을 돌려 더 많은 사람에게 1차 접종을 시킴으로써 다음 백신 공급물량이 도달할 때까지 시간을 벌고, 즉각적인 사망률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접종 간격을 늘리면 물량 조정 선택권이 생길 뿐 아니라 백신의 효능도 오른다. 1차 접종 후 6주 이내에 2차 접종을 받은 유증상자의 백신 효능은 55.1%, 적어도 12주 이후에 2차 접종 백신을 받은 유증상자 효능은 81.3%에 달했다. 1차 접종만 받고 2차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 역시 백신 효능이 76%로 나타났다. 무증상자의 경우 역시 접종 간격이 길수록 효능이 높아지는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유럽 국가들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추가 물량 확보에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 특히 독일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40만회분 중 실제 접종분은 21만회분을 접종한 채 나머지 85%는 방치중이다. 공급 차질로 생겨난 불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자체의 문제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운반체인 아데노 바이러스 벡터와 실제 백신인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 현재 급속도로 번지고 있는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효과도 없다. 또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마련한다 해도 이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사람은 운반체에 대한 중화항체를 갖추게 되므로 만약 변이 바이러스 백신이 같은 운반체를 가진다면 그 역시 중화돼버린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당장 급한 대로 써야겠지만 앞으로 찾아올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LS, LS전선에 1500억 유증 참여..."美 생산거점 확보 차원"

㈜LS가 미국 내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LS전선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 약 1500억원 규모의 출자를 결정했다.LS는 25일 열린 이사회에서 LS전선 보통주

[ESG;NOW] 매일유업 재생에너지 3%...수질지표 더 악화

매일유업은 온실가스 감축, 물 사용효율 개선, 포장재 절감 등을 ESG 핵심목표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본지가 2024년 환경자료와 회사 측 회신을 종합 분

대한항공 기내식 용기 '식물성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도입한다.대한항공은 오는 12월부터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비목재 식물성 원료로 제작된 기내식 용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기후/환경

+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ESG;NOW] 매일유업 재생에너지 3%...수질지표 더 악화

매일유업은 온실가스 감축, 물 사용효율 개선, 포장재 절감 등을 ESG 핵심목표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본지가 2024년 환경자료와 회사 측 회신을 종합 분

땅속에서도 죽지 않는다...북극 동토층 '좀비 산불'로 몸살

땅속으로 파고든 불씨가 죽지않고 타는 '좀비 산불'이 시베리아와 캐나다, 알래스카 등 북극의 새로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좀비 산불'은 유기토양

기후취약국들 갈수록 '빚더미'..."기후재원 언제까지 대출받아 피해복구?"

기후재난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를 촉발시킨 선진국들의 책임있는 자세를 다시한번 촉구하고 나섰다.기후

1만2000년만에 분화한 화산...연기 14km까지 치솟아

에티오피아 북동부에 위치한 하일리 굽비 화산(Hayli Gubbi volcano)이 약 1만2000년 만에 처음으로 분화했다고 24일(현지시간) AFP, 가디언 등 외신들이 보도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