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윤의 발길따라] 탄소제로섬...제주 '비양도'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5-06 11:28:54
  • -
  • +
  • 인쇄
자동차도 없고 심지어 경운기도 없다
▲탄소제로섬 제주 '비양도' 전경

도시는 시끄럽다. 자동차 경적소리. 공사장 소음. 농성장의 마이크 잡음. 모두가 공해다. 소리공해만 있는 게 아니다. 공사장에서는 흙먼지가 날린다. 자동차 배기통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온다. 숨 쉬기가 힘들다. 코를 막아야 한다. 눈을 가려야 한다. 어디 한 곳 편히 쉴 곳이 없다. 탈출하고 싶다. 도망가고 싶다. 공해 없는 장소로. 고민이 된다. 그런 장소가 있을까. 있다. 그곳이 어딜까. 제주 비양도다.

▲ 여객선에서 보이는 비양도. 한림항에서 여객선으로 15분이면 도착한다.

비양도는 가기에 편하다. 한림항에서 배로 15분이면 도착한다. 비양도의 첫 인상은 어떨까. 공기가 맑다. 먼지구경을 할 수가 없다. 조용하다. 소음이 없다. 사람구경도 하기 어렵다. 비항포구에 내리면 고양이가 반긴다. 자기들의 영역이라고 활개를 친다. 관광객만 없다면 무인도 같은 느낌이다.

비양도의 특징이 있다. 자동차가 없다. 경운기 구경도 못한다. 손수레로 짐을 옮긴다. 지게로 물건을 나른다. 바쁘면 자전거를 타야한다. 당연히 소음공해와 매연이 없다. 공기가 맑을 수밖에 없다. 한마디로 청정지역이다. 주민들은 문명의 이기를 거부한다. 불편을 감수한다. 왜일까. 탄소제로섬을 지키기 위해서다.


▲ 비양도의 해안산책로는 사색하며 걷기에 안성맞춤이다.

비양도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남아있다. 때 묻지 않은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작은 섬이지만 자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볼거리도 많다. 해안산책로는 비양도의 자랑이다. 2.5km의 포장도로를 여유롭게 걸을 수 있다. 해변의 기암괴석을 감상할 수 있다. 조심할 게 있다. 바람이 거세면 바닷물이 장난을 친다. 연인의 사랑을 시샘하며 물세례를 선사한다. 그마저도 즐거울 수 있다. 자연이 주는 선물이라.

▲비양오름 입구에 설치된 나무계단(좌)과 비양등대로 오르는 꽃길

해안산책로 걷기가 밋밋하면 발길을 옮겨라. 산책로 중간쯤 비양오름에 올라보라. 20분 정도 발품을 팔아라. 탐방로가 잘 꾸며져 있다. 초입에는 계단이 길을 안내한다. 오름 중턱에 대나무 숲길이 조성돼 있다. 죽도(竹道)라고도 불린다. 구세주 같은 휴식처를 제공한다. 흐른 땀을 식히라고. 가쁜 숨을 멈췄다 가라고. 해발 114m의 비양오름. 약간의 육체적 고통을 감수해라. 올라보면 느낄 것이다. 잘 올라 왔다고.

▲정상에 우뚝 선 비양등대


정상에 우뚝 선 비양등대. 흰색의 우아함을 뽐내고 있다. 우아한 자태로 수많은 배들의 안전운항을 책임지고 있다. 차귀도 등대와 함께 제주의 명소다. 비양등대에서 내려다보는 제주의 바다. 주변의 바다가 온몸을 휘 감는다. 가슴이 확 트인다. 환상이다. 해변에서 보는 바다와 또다른 절경이다.

천혜의 섬 비양도에 아픔이 닥쳐왔다. 중국발 괭생이모자반이 비양도를 덮쳤다. 지난 4월까지 제주에는 괭생이모자반 9600t이 유입됐다. 지난해 전체 유입량 5185t과 비교해 1.8배나 많은 양이다. 비양도는 올 3월까지 20t을 수거했다. 괭생이모자반은 비양도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괭생이모자반이 썩으며 어마어마한 파리 서식지가 되고 있다. 과거에 볼 수 없던 파리의 공습이 이뤄지고 있다. 제주도는 괭생이모자반 유입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비양도 주민도 탄소제로 섬을 지키려고 힘을 모으고 있다. 괭생이모자반과 해양쓰레기 수거에 발 벗고 나섰다. 탄소제로 섬 비양도의 모습이 온전히 지켜지길 간절히 바란다.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늬들이 군산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