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윤칼럼] 정치인이여! 침묵을 배워라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4-30 10:56:51
  • -
  • +
  • 인쇄

정치판이 시끄럽다. 막말이 판을 친다. 큰 소리가 울려 퍼진다. 저잣거리의 싸움판 같다. "잘라 먹었다" "지휘랍시고" "외눈" "정신병자" "꼬붕" "아사리판" 등등. 모두가 정치인이 내뱉은 말이다. 장관의 독설이었다. 전 국무총리의 인격 모독적 발언이었다. 원로 정객의 걸맞지 않는 표현이었다. 이들만 그런 것이 아니다. 일부 정치인들의 비속어는 수없이 많다. 부끄러워 고개를 들 수 없다. 누구에게. 우리의 어린 자녀들에게. 국민은 속이 끓는다. 품격 없는 정치인들의 언행에 실망하고 있다.

정치(政治)란 무엇인가. 다툼을 해결하는 활동이다. 정치인(政治人)은 그 활동을 실행하는 사람이다. 다툼을 해결하려면 대화를 해야 한다. 말을 통해서 하게 된다. 정치인의 첫 번째 덕목은 국민을 위함이다. 모든 행동에 사심(私心)을 버려야 한다. 자신을 낮춰야 한다. 몸가짐을 바르게 해야 한다.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교육을 받았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濟家治國平天下)라고. 자신의 몸을 닦고 가정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 그리고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 일부 정치인들의 삶을 보자. 수신과 제가가 됐는가. 아쉽게도 그렇지 못하다. 본인이 온갖 비리에 연루돼 있다. 성추문, 횡령, 배임, 정치자금법,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 온갖 불법을 저지르고 있다. 국회의원 동료끼리 폭행도 발생한다.

의문이 든다. 이런 불법을 자행하며 국회의원이 돼야 하는가. 장관의 자리에 오르고 싶은가. 꼭 정치를 해야만 되는지 묻고 싶다. 자녀문제도 말썽이 많다. 병역비리. 음주운전. 성매매 시도. 보험사기, 폭행 등 사회악의 주인공이 되고 있다. 죄명만 놓고 보면 범죄 집단 같다.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요지경 세상이다. 수신제가도 안 됐는데 감히 치국이라니. 말을 하고 싶은데 할 말이 없다. 차마 입이 열어지지 않는다. 한마디로 꼴불견이다. 김지하 시인의 오적(五賊)이 불현 듯 머리를 스친다.

비속어가 난무하는 정치판에 공통점이 있다. 대부분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세우고 있다. 말을 많이 한다. 이유가 있다. 말을 많이 해야 언론에 노출될 확률이 높다. 화제의 중심에 서게 된다. 유권자의 머리에 각인 될 수 있다. 통치자의 관심을 끌 수 있다. 일부정치인은 그리 생각한다. 착각이다. 국민은 현명하다. 정치인은 국민에게 어떤 존재인가. 부처님 손바닥 위에 노니는 손오공일 뿐이다.

국민은 정치인 머리 위에 앉아 있다. 정치인의 말을 믿지 않는다. 행동으로 보여주길 바란다. 있는 듯 없는 듯 자신의 일을 수행하는 정치인을 바라고 있다. 서글픈 일도 생긴다. 조용히 국민을 위해 일하는 정치인도 있다. 이런 정치인도 국민의 인정을 못 받고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왜 그럴까. 일부 정치인의 말 폭탄에 휩쓸려 같은 취급을 받기 때문이다.

현재 정치하는 사람 중에 몇 명은 유난히 말을 많이 한다. 여야를 가릴 게 없다. 아마도 본인은 착각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달변가라고. 국민이 자신의 말에 감동 받을 거라고. 착각하지 마라. 절대 아니다. 그들에게 초등학교 수준의 조언을 하고 싶다. "침묵은 금이다"라고. 그들은 SNS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끊임없이 토해낸다. 내용은 별게 없다. 상대방을 공격한다. 그리고는 반격이 이뤄진다. 탁구공 마냥 왔다 갔다 한다. 공교롭게도 그들은 언론에 자주 등장한다.

정치인의 말을 막을 수는 없다. 어쩌면 그들의 책무일 수도 있다. 자신의 정책을 말해야 한다. 바람이 있다. 품격 있는 말을 해주길 바란다. 정제된 언어를 사용했으면 한다.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을 알려주길 원한다. 부처님은 설법했다. 구업(口業)을 짓지 말라고. 말하기 전에 몇 번이고 생각해야 한다. 상대방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마디 말이 독사의 독보다 무섭다는 거를 새겨야 한다.

말은 그 사람의 인격이다. 품격이다. 정치인에게 권하고 싶다. 종교를 떠나 템플스테이 체험을 했으면 한다. 조용한 사찰에서 묵언수행을 해보면 어떨까. 하루라도. 아니 한 시간이라도. 단 오 분 만이라도. 침묵이 주는 위대함을 느껴봤으면 한다. 세상에 가장 아름다운 말이 있다. 그 말이 무엇일까. 아직 내뱉지 않은 말이다.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늬들이 군산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주말날씨] 백두대간 서쪽은 '찜통더위'...동쪽은 '더위' 꺾여

이번 주말에도 백두대간 서쪽과 내륙은 체감온도가 35℃를 넘나드는 '극한폭염'이 이어지겠다. 곳곳에서 낮동안의 폭염의 영향으로 밤에도 기온이 내

'참치' 늘고 '오징어' 줄고...뜨거워진 동해안 어종 바뀌고 있다

동해안은 전세계 연안에 비해 수온이 3배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탓에 어종도 바뀌고 있다.연일 35℃가 넘는 폭염이 한창인 10일 오후 3시 동해안의 수온

"기후에너지부 제대로 작동하려면 기후재정 혁신해야"

정부가 기후예산을 재설계하지 않고 기후에너지부를 개편하는 것만으로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10일 기후재정포럼

'불판'으로 변한 지구…40℃ 폭염이 일상화 되려나

지구촌 곳곳이 '불판'처럼 달아오르고 있다. 아직 한여름이 시작되지 않았는데 유럽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의 한낮 기온이 40℃를 넘나들고 있다. 지

수백명 희생된 美 텍사스주 대홍수 나흘만에 뉴멕시코도 '홍수'

미국 텍사스주에서 대홍수 참사가 발생한지 나흘만에 이번에 뉴멕시코주에서 홍수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9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

'온열질환자' 하루새 200명 발생…'살인폭염' 언제까지?

수도권 낮 최고기온이 40℃가 넘는 등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하루 사이에 온열질환자가 200명 넘게 발생했다. 문제는 이같은 더위가 한동안 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