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1Q실적 '날았다'...모빌리티·페이도 적자탈출 '예고'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05-06 16:06:24
  • -
  • +
  • 인쇄
1Q 매출 1.2조로 45%, 영업익 89% 늘어
카카오페이 거래액 22.8조로 58% 성장
카카오가 모빌리티와 페이에 힘입어 올 1분기 영업이익이 79%나 성장했다.

카카오가 6일 공개한 1분기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 1조2580억원, 영업이익 1575억원이다. 이는 역대 최대 분기 실적으로,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이 45%, 영업이익이 79% 늘었다.

사업 전반에 걸쳐 고르게 성장한 덕분이다. 특히 모빌리티·페이 등 신사업부문 매출이 189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9%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지금 추세로 가면 연말 흑자전환이 가능할 전망이다. 카카오택시는 가맹숫자는 2만1000대로 늘었고, 카카오페이 거래액도 22조8000억원으로 58% 성장했다.

광고매출은 59% 성장했다. 선물하기 등 쇼핑사업이 증가한 덕분이다. 톡비즈 매출도 61% 증가한 3615억원을 기록했다. 포털(1175억원) 등을 포함한 플랫폼 부문의 매출은 51% 증가한 6688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도 5892억원으로 작년보다 38% 성장했다. 웹툰·웹소설 등 유료콘텐츠는 해외에서 인기를 끌면서 80% 성장한 1747억원을 올렸다. 지적재산(IP) 비즈니스 기타부문 매출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영상 콘텐츠 매출 증가와 음반 유통 호조로 55% 증가한 1274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게임 매출은 35% 증가한 1303억원, 음악은 4% 증가한 1568억원을 기록해, 다른 사업에 비해 상대인 약세를 보였다.

영업비용은 41% 늘어난 1조1004억원을 기록했다. 채용확대에 따른 인건비가 늘었고, 마케팅 비용이 증가한 탓이다. 영업이익률은 12.5%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한편 이날 카카오는 1분기 관련 컨퍼런스콜에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카카오재팬의 기업공개(IPO)를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뱅크는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계열사간 사업 시너지를 위해 일부 계열사에 대한 개편도 언급했다. 현재 카카오 계열사는 공정거래위원회 집계 기준으로 118개에 달한다.

카카오는 이달 안에 지속가능경영 노력과 앞으로의 계획을 담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