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기행] 서울에서 맛보는 무안산 '뻘낙지'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5-31 09:49:00
  • -
  • +
  • 인쇄

낙지는 2종류가 있다. 갯벌낙지와 통발낙지. 갯벌낙지를 뻘낙지라고도 부른다. 갯벌을 뻘이라고도 한다. 뻘낙지는 말 그대로 갯벌에 산다. 뻘낙지를 잡으려면 힘이 든다. 갯벌을 파면서 잡아야 한다. 삽질을 계속해야 한다.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 낙지는 몸놀림이 매우 빠르다. 낙지와 신경전을 펼쳐야 한다. 낙지잡이 전문가도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통발낙지는 바다에 산다. 돌 틈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있다. 통발에 미끼를 넣어 잡는다. 낙지는 야행성이다. 바닷물이 빠졌을 때 밤에 횃불을 켜서 잡기도 한다. 불빛에 놀란 낙지가 도망을 간다. 도망갈 때 그냥 주우면 된다. 이런 방식을 '해루질'이라 부른다.

사람들은 말한다. 뻘낙지가 맛이 좋고 영양도 풍부하다고. 이유가 무얼까. 갯벌은 바닷 속 허파같은 존재다. 바다 생태계를 정화시켜준다. 영양의 보고다. 게르마늄 셀레늄 등이 흘러넘친다. 수많은 무기질이 존재한다. 게 딱총새우 고둥 조개 갯지렁이 짱뚱어 등 다양한 생물이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다. 갯벌의 영양제를 섭취하며 살아간다.

국내에는 천혜의 갯벌이 존재한다. 서해안 갯벌이 세계 3대 갯벌로 손꼽히고 있다. 유럽 북해 연안, 미국동부 조지아 연안 갯벌과 함께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서울 근교에는 강화도 갯벌이 있다. 전남지역의 신안 무안 갯벌도 유명하다. 국내산 뻘낙지는 최고의 환경에서 살아간다. 당연히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 아쉬움이 있다. 공급이 소비를 못 따라간다. 부족한 양은 중국산으로 대체한다.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전국에는 많은 낙지집이 있다. 낙지집은 많은데 국내산 뻘낙지를 먹기가 쉽지 않다. 구입하기 어려워서 그렇다. 서울에서 뻘낙지 맛을 즐길 수 있는 식당이 있다. 식도락가에게 알려진 맛집이다. 점심은 밥 손님. 저녁은 술손님으로 가득 찬다. 예약해야 편히 먹을 수 있다. 양재역 부근에 있다. 상호가 '명가 무안 뻘낙지'다. 전남 무안 갯벌의 낙지를 맛볼 수 있다. 무안에서 뻘낙지를 직접 공급받는다. 지인이 매일 올려 보낸다.

주인 임수진(57)씨는 뻘낙지 고유의 맛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한다. 산낙지 낙지볶음 낙지찜 낙지탕탕 낙지초무침이 대표음식이다. 산낙지에서는 낙지의 힘이 느껴진다. 한 점을 먹으면 입천장에 쩍쩍 붙는다. 힘만 좋은 게 아니다. 고소함이 뒤따른다. 씹을수록 쫄깃함이 느껴진다. 싱싱함은 기본이다. 갯벌냄새가 나는 기분이다. 낙지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산낙지볶음도 특유의 맛을 자랑한다. 양배추 단호박 양파 등이 들어간다. 손님의 건강을 위해 신경 쓴다. 일반식당과 다른 점이 있다. 단호박을 넣는다. 단호박으로 단맛을 낸다. 되도록 인공감미료를 쓰지 않으려 한다. 매콤하면서도 달콤하다. 주인의 정성이 엿보인다.

낙지초무침은 조리장의 비법이 빛을 낸다. 초장은 40년 경력의 조리장이 직접 만든다. 여러 가지 과일을 갈아 넣어 특유의 맛을 낸다. 새콤하면서도 달콤함으로 입맛을 돋궈준다. 살짝 데친 낙지에 초장과 함께 미나리 등 채소를 듬뿍 넣는다. 낙지의 쫄깃함과 초장의 새콤달콤, 채소의 아삭함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산낙지찜은 2가지로 나온다. 살짝 데친 낙지숙회는 담백하다. 콩나물을 넣어 볶아낸 찜은 고소함이 혀를 자극한다.

낙지탕탕은 먹기 편하게 나온다. 잘게 썬 낙지가 참기름 깨소금 달걀노른자와 함께 상에 오른다. 마늘 고추는 식성에 맞춰 먹으라고 접시 한쪽에 자리잡는다. 여러 색깔이 조화를 이룬다. 접시를 보는 순간 식욕이 부쩍 생긴다. 낙지의 꿈틀거림에 입맛이 돋는다.

이곳에서는 하루평균 10~15접의 뻘낙지를 무안에서 공급받는다. 낙지 1접은 20마리다. 하루에 200~300여 마리 낙지가 팔린다. 물건이 모자라 강진과 장흥의 뻘낙지로 보충하는 경우도 있다. 손님상에는 8가지 기본반찬이 깔린다. 전도 나온다. 무전 파래전 등 남도음식을 맛 볼 수 있다. 장흥이 고향인 주인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맛보다 귀한 게 있다. 주인의 친절함이다. 손님이 나갈 때 기분이 좋다. 주인이 최고의 서비스를 한다. 언제나 웃는 얼굴이다. 친절함이 몸에 배있다. 모두가 회장 대접을 받는 기분이다. 한번 들르면 계속 찾게 된다. 주인의 친절함에 단골손님이 많다. 요식업 20년 경력의 주인이 손님의 마음을 휘어잡는다.

퇴근길 술 한 잔 생각날 때 들려봄직 하다. 뻘낙지의 깊은 맛과 주인의 친절함이 하루의 피로를 풀어줄 게다.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전북도, 다회용기 민간사업자 모집

전북특별자치도가 '2026 다회용기 사용 촉진 지원사업'을 수행할 민간 사업자를 오는 12월 24일까지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이는 자원 순환을 목표로 도

삼성중공업,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

삼성중공업이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삼성중공업은 독자 개발한 '유기랭킨사이클(ORC:Organic Rankine Cycle) 기반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쿠팡 '못난이 채소' 새벽배송 3년...직매입 물량 8000톤 돌파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쿠팡은 지난 2023년부터

기후/환경

+

[COP30] '합의문' 초안 나왔다...탈탄소 격차해소·기후재원 마련 '관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합의문 초안이 공개됐다.18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G1과 AP·로이터통신

화학 과정없이 미생물로 섬유 염색하는 기술 개발됐다

국내 연구진이 화학과정없이 미생물만으로 섬유에 색상을 입히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 연구팀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 지구학교' 성료...환경 배우며 나눔실천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는 경기도교육청과 함께 추진한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아름다운 지구학교'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19일 밝혔다.이번 프로

한국 '탈석탄동맹' PPCA 합류...호주 에너지전환까지 촉진?

한국이 '국제탈석탄동맹(PPCA:Powering Past Coal Alliance)'에 가입함으로써 호주의 화석연료 산업을 쪼그러뜨리고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

전기차 충전시설, 28일부터 지자체 신고·책임보험 의무화

이달 28일부터 건축물 주차장에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지자체에 신고하고 책임보험도 가입해야 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COP30] 교황의 묵직한 경고..."기후위기 대응, 더는 미룰 수 없다"

교황 레오 14세가 세계를 향해 "기후위기 대응을 즉각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묵직한 경고를 날렸다.교황 레오 14세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