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남극 순환해류' 속도 빨라졌다

나명진 기자 / 기사승인 : 2021-11-30 17:03:28
  • -
  • +
  • 인쇄
해양간 온도차 커지며 해류 속도 증가
해양온난화 유발로 이상기후 위험커져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해류인 남극 순환해류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디에고캠퍼스의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 우즈홀(Woods Hole) 해양학연구소, 중국과학원,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UC Riverside)로 구성된 공동연구진은 전세계 해양 부유물 네트워크인 '아르고'(Argo)의 데이터와 해저면 높이의 위성 측정을 이용해 남쪽 해양 상층부의 속도를 연구한 결과,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 순환해류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전 스크립스 해양학 박사과정 학생이자 우즈홀 해양학연구소의 박사후 연구원인 지아루이시(Jia-Rui Shi)는 "해양의 온도변화가 최근 수십년동안 감지된 해류 가속도의 원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며 "남극 순환해류의 속도가 빨라지면 열이나 탄소 등이 해양 유역 사이에서 순환하게 되며 이런 현상이 아열대 지역에서 증가하게 된다"고 말했다.

남극 순환해류는 바람에 의해 움직이지만, 해류속도의 변화는 대부분 온도차 때문에 발생한다. 남극 순환해류는 남극 대륙을 둘러싸고 남쪽의 차가운 물과 북쪽의 따뜻한 아열대 물을 분리되는데,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의 온도차가 높아지면 둘 사이의 해류는 빨라진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물의 온도차가 커졌고, 이로 인해 해류도 빨라졌다.

이같은 해류속도의 증가는 지속적인 해양온난화를 유발하면서 열과 해수의 이동으로 이어진다. 이는 또다른 지역의 기후변화를 일으킬 위험도 있다. 이에 과학자들은 순환해류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인공위성 장비와 아르고 네트워크가 개발되면서 남극해의 변화를 포착한 장기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졌고, 이번 연구결과를 얻게 됐다.

연구진들은 "인간이 초래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대륙을 둘러싼 해역이 열을 계속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해류의 속도는 더욱 빨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학술지 '자연기후변화저널'(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온난화 때문만은 아니다"…남극 해빙 줄어든 진짜 이유는 '염분'

지구온난화가 남극 해빙을 녹이는 주된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해수 염분이 더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수면의 염분이 높을수록

열돔과 열섬에 47℃까지 치솟는 유럽...WMO "폭염은 이제 일상이 됐다"

유럽이 47℃까지 치솟는 역대급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세계기상기구가 전세계는 이제 폭염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경고했다. 세계기상기

때이른 폭염에 사람도 가축도 '신음'...곳곳 폭염 피해 속출

전국이 습하고 더운 '가마솥 더위'에 시달리고 있다. 2일 낮 최고기온이 36℃에 이르면서 사람과 가축도 탈진하거나 목숨을 잃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 제거 신소재...AI로 찾았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을 제거하는 흡착 신소재를 인공지능(AI)로 찾는데 성공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와 한국화

[날씨] 낮에는 36℃ '가마솥 더위'...밤에는 '열대야' 기승

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19∼21℃·최고 25∼29℃)보다 높겠고,

국내 화석연료 전력비중 사상 처음으로 50% 밑으로 '뚝'

태양광 발전에 힘입어 국내 화석연료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50% 이하로 떨어졌다.글로벌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가 2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올 4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