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CJ와 '순환플랫폼' 구축한 이너보틀 대표 "재활용 가능한 모든 제품 담겠다"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2-03-31 14:13:10
  • -
  • +
  • 인쇄
LG화학·CJ대한통운과 순환 플랫폼 구축
"이너보틀 이외 제품도 수거·재활용 추진"
▲오세일 이너보틀 대표


"생산에서 수거, 재활용까지 모두 책임지는 '자원순환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해 4월 이너보틀 사무실에서 만난 오세일 이너보틀 대표(45)가 강조했던 말이다. 당시 이너보틀은 화장품 등의 용기 안에 실리콘 재질의 내부 용기를 활용해 잔여물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업체로 주목받을 때다.

하지만 오 대표는 정작 중요한 것은 제품 자체보다 수거해서 재활용까지 이르는 플랫폼, 즉 생태계를 만들어야 진정한 '순환경제'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너보틀' 화장품 용기는 100% 재활용...수거까지 책임진다]

1년여가 지난 이달 30일, 오 대표는 국내 소재업계와 물류업계의 대표주자들과 함께 이런 생태계를 구성하기 위한 협업에 성공했다. LG화학, CJ대한통운과 함께 '자원순환플랫폼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들 3사가 구축하는 에코플랫폼은 '소재(LG화학)→제품(이너보틀)→수거(CJ대한통운)→리사이클(LG화학·이너보틀)'로 이어지는 구조다. LG화학이 제공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너보틀이 화장품 용기를 만들고, 사용된 이너보틀의 용기를 CJ대한통운이 회수한 뒤, 다시 LG화학과 이너보틀이 원료 형태로 재활용하는 방식이다.

소비자는 이너보틀의 온라인 화장품 리필샵 '이리온'(Ireon)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 리필을 신청한 뒤 수거함에 담아 현관 앞에 사용한 제품을 놓아두기만 하면 된다. 이를 CJ대한통운 택배 기사가 수거하고, 새로 충전된 리필 제품을 배송한다. 이너보틀은 수거한 용기를 재사용하기 위한 세척 작업을 진행한다. 수거된 용기 중 더 이상 재사용하지 못하는 용기는 LG화학이 구매한 후 리사이클링을 통해 깨끗한 원료로 재활용한다.
 
기존 오프라인 리필샵은 소비자가 리필을 할 수 있는 거점으로 용기를 들고 찾아 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이리온(Ireon)은 온라인으로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릭 한번으로 제품 리필과 용기 수거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오 대표와 이너보틀의 목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오히려 이제 막 첫 발을 뗐다는 표현이 적합하다. 오 대표는 이번에 시작하게 된 플랫폼에 '이너보틀 제품'만이 아닌 재활용 가능한 모든 제품을 끌어들이고 싶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날 전화통화에서 오 대표는 "예컨대 가정에서 버리려는 폐가전을 이너보틀 수거함에 같이 넣어두면 이를 물류업체가 수거해 와서 해당 제품 생산 기업으로 전달해 재활용하는 구조도 만들 수 있다"며 "관련 업체들과 협업을 통해 이런 식의 자원순환 생태계를 만들어 보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입장에서는 반납을 통해 포인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익이고, 기업들은 재활용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며 "무엇보다 순환경제 구축으로 인한 환경에 부담을 덜 줄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경기도 "기후행동 실천하면 방화복 재활용한 의류·가방 드려요"

일상에서 기후행동을 실천하면 폐방화복을 재활용한 의류와 가방을 받을 수 있다.경기도는 기후행동 이벤트 '방화복의 두 번째 이야기'를 오는 11월 19

글로벌 은행들 말로만 '화석연료 중단'...실제 투자중단한 곳은 'O'

글로벌 대형은행 가운데 신규 화석연료 생산투자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22일 영국 정치경제대학(LSE) 글로벌기

서울우유 멸균팩 '알루미늄 뺐다'...재활용 분리배출 가능

멸균팩은 음료를 장기간 보존하기는 좋지만 속지로 사용한 알루미늄 때문에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처음으

KGC인삼공사 '사내 발명데이' 개최...27건 아이디어 접수

KGC인삼공사가 지난 14일 과천에 있는 R&D센터에서 임직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장려하기 위한 '정관장 발명왕·발명데이' 행사를 개최했다고 2

신한·KB·하나·우리...금융지주, 상반기 ESG평가 S등급 '싹쓸이'

신한금융, 네이버,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KT 등 6개사가 한국ESG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올 상반기 ESG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한국ESG평가원은 지

“CO₂감축만으로 부족해”...구글 '슈퍼 온실가스'까지 감축한다

구글이 이산화탄소를 넘어 메탄과 냉매가스 등 '슈퍼오염물질(super-pollutants)' 감축에 나섰다.2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구글은 단기

기후/환경

+

열대야가 부른 '수면 위기'…기후변화로 수면패턴 깨진다

열대야가 길어지면서 기후위기가 인간의 수면 패턴까지 흔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여름에 발생하는 열대야는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

스티로폼 미세플라스틱 흡입하면 '폐조직 손상' 유발

스티로폼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유입되면 폐를 손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국가독성과학연구소 이규홍·우종환 박사와 전북대

뉴스트리, 세명대 '기후위기 팩트체킹 취재 지원사업'에 선정

뉴스트리가 세명대학교 저널리즘대학원이 주최한 '2025년도 2차 기후위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에 선정됐다.언론의 기후위기 대응 보도를 장려

WTO "보건정책 핵심의제는 기후위기"...아태지역 국가에 변화 촉구

세계보건기구(WHO)가 기후위기를 건강의 문제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보건정책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WHO는 20일(현지시간) 발표한 '기후·

글로벌 은행들 말로만 '화석연료 중단'...실제 투자중단한 곳은 'O'

글로벌 대형은행 가운데 신규 화석연료 생산투자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22일 영국 정치경제대학(LSE) 글로벌기

멸종위기 담수어 '어름치와 감돌고기' 5000마리 방류

멸종위기종인 어름치와 감돌고기가 금강에 방류됐다.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는 21일 충남 금산군 금강 상류지역에서 멸종위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