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남노' 한반도 빠져나가자 '한시름'...철저한 대비덕에 피해 작았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09-06 11:27:56
  • -
  • +
  • 인쇄
경주와 포항은 물폭탄에 곳곳 침수 피해


강력한 폭풍우를 동반한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6일 오전 9시 기준으로 울릉도 남남서쪽 약 110km 해상에서 시속 62km로 북동진하면서 한반도는 직접 영향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다. 

당초 '힌남노'는 지난 2003년 전국을 강타한 '매미' 이상의 피해를 낳을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전국적으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없이 지나갔다. 특히 힌남노가 남해안을 상륙한 오전 4~5시 무렵은 만조때와 겹쳐 해일 피해까지 예상됐지만 철저하게 대비한 덕분에 해일에 따른 피해도 거의 없었다. 

▲ 힌남노가 뿌린 집중호우로 침수된 포항의 도로 (사진=연합뉴스)

다만 힌남노가 상륙한 제주와 남해안에서는 피해가 속출했다.

경북 포항과 경주에서 인명 피해가 잇따랐다. 포항에서는 70대 여성이 급류에 휩쓸려 사망했고, 경주에서도 주택에 토사가 유입되면서 80대 여성이 사망했다. 포항 남구의 아파트 2곳에서 지하주차장에 차를 빼러간 주민 8명이 실종됐고, 남성 1명은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울산에서도 20대 남성이 하천에 빠져 실종됐다.

포항 구룡포는 시간당 110.5㎜의 비가 내려 도심 곳곳과 농경지가 물에 잠겼다. 포항 남구 오천읍의 천변에 자리잡은 한 풀빌라 건물이 통째로 물에 떠내려가기도 했다. 형산강은 홍수경보가 내려졌고 하천·저수지 범람 우려로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경주에서도 침수 피해가 속출해 주민들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했다.

부산 등 남해안 일대는 초속 30m 안팎의 강풍으로 인한 피해가 많았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해안가 도로는 파도가 넘어오는 월파 피해가 발생했고, 일부 지역은 정전 피해도 발생했다. 파도가 해운대구 마린시티 해안도로까지 덮치면서 바닷물이 한때 고층건물 사이의 도로 안까지 밀려오기도 했다. 유튜버 2명이 월파를 촬영하다가 파도에 휩쓸리는 아찔한 장면도 있었다.

▲힌남노가 상륙한 6일 오전 부산 민락수변공원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등 중부지역은 남부지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했다. 특히 지난달 8일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당했던 반지하 주민들은 또다시 비 피해를 당하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생각보다 비가 적게 와서 안도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등 피해를 입었다. 강남구 수서동에서는 강풍을 이기지 못한 가로수가 쓰러져 주차된 차량 2대를 덮쳤다.

또 도로가 침수되면서 통행이 제한된 곳들이 많아 교통혼잡을 빚고 있다. 6일 오전 10시 현재 한강 수위 상승으로 △ 노들로 여의상류∼한강대교 △ 강변북로 마포대교∼동작대교 △ 올림픽대로 가양대교∼동작대교 △ 내부순환로 마장∼성동JC △ 동부간선도로 군자∼성수JC 등 주요 도로 11곳이 양방향 통제 중이다.

이번 태풍이 주목받은 것은 발원지가 특이하고, 워낙 강력한 세력을 지닌 때문이었다. 태풍은 해수면 온도가 26도 이상인 곳에서 발생한다. 수증기가 응결할 때 나오는 잠열이 태풍 에너지원이다. 대개 남·북위 5도 이상에서만 태풍이 생성되는데 '힌남노'는 북위 26.9도에서 발생했다.

게다가 처음부터 강력한 태풍으로 발생하지 않았는데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세력이 강력해졌다. 그 이유는 '힌남노'의 이동경로였던 북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29~30도로 높았던 탓이다. 심지어 힌남노는 서진 중에 자신보다 늦게 나타난 제12호 태풍 무이파를 흡수해 몸집을 더 불리기까지 했다. 높은 해수면 온도에다 다른 태풍까지 흡수해 세력을 더 키운 '힌남노'는 괴물태풍으로 변하며 우리나라로 북상하기 시작한 것이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는 "일반적으로 중위도는 수온이 낮아 태풍의 세력이 약해지는데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수온이 높아지면서 오히려 세력이 커지는 경우가 생겼다"며 "중위도에서 발생한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한 것은 '힌남노'가 처음"이라 말했다.

힌남노는 1분 평균 최대풍속이 시속 259㎞에 달하는 올해 첫 5급 태풍으로 분류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기후변화영향평가 제도 시행 3년..."사각지대 개선해야"

'기후변화영향평가'가 시행 3년차에 접어들지만 평가범위가 제한적이고 권고수준에 머무르면서 실효성이 없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에펠탑이 20cm 휘어진다고?...철구조물은 폭염에 약해

폭염으로 프랑스 파리의 상징물인 에펠탑이 약 20㎝가량 휘어질 수 있다.30일(현지시간) 일간 르파리지앵에 따르면 에펠탑은 철골 구조물로, 철강은 열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이래 '최고치'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이 30일 발간한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 선정

환경부가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강릉 가시연습지·

韓 국외 메탄배출량 4670만톤..."석유·가스 수입시 메탄기준 도입해야"

우리나라가 국외에서 배출하는 메탄량이 국내 배출량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간 5000만톤에 육박하는 '국경밖 메탄'을 규제하면 2100년까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