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가스 대안이 미국산 LNG?...에너지 딜레마 빠진 유럽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6 08:00:03
  • -
  • +
  • 인쇄

유럽 각국이 수 십 년동안 미국산 화석연료에 의존해야 할 전망이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 천연가스에서 벗어나 에너지 수요를 다각화 하기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환경단체들은 "유럽연합의 기후목표가 흔들릴 수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에너지 총괄국장 디테 줄 요르겐센(Ditte Juul-Jorgensen)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겨울 에너지 위기를 견딜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며 "여기에는 에너지 절약과 재생에너지 확대뿐만 아니라 미국산 액화천연 가스(LNG)를 더 수입하는 것도 포함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앞으로 수 십 년동안 화석연료가 필요할 것이고 이 맥락에서 미국 에너지는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일부 정치인과 환경운동가들이 유럽연합의 기후목표를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유럽연합은 이미 수 십 년동안 미국산 천연가스를 소비할 것이라는 강력한 신호"라고 해석했다. 현재 유럽연합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2030년까지 1990년 수준 대비 배출량을 절반 이상 줄여야 하는데 이 와중에 러시아 가스에 의존하지 않고 에너지 안보를 지켜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실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본격화된 직후 유럽연합은 바이든 미국 행정부와 2030년까지 연간 5000만 입방미터의 미국산 LNG를 추가로 수입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유럽연합과 미국 정부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기후목표는 서로 일치하고 이번 계약은 양 당사자가 가스 수요를 줄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점을 기반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기업컨설팅 전문가들은 "요르겐센의 이번 발언은 유럽 바이어들에게 2030년 이후에도 미국과 거래해도 좋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컨설팅 업체 ICIS의  파우제야 라만(Fauzeya Rahman)  LNG 애널리스트는 "미국 가스업체들에게 이는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고 전망했다. 

이는 수치로도 나타났다. 미국의 대유럽 LNG 수출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해 전년도 22bcm(일억입방미터)에서 2022년 56bcm로 증가한 것이다. 반면 러시아 가스 수입 비중은 지난해 3월 37%에서 올초 16%로 절반 넘게 줄었다. 

이에 미국 LNG 회사들은 유럽과 새로운 장기 공급계약을 속속 체결하고 있다. 미국 최대 LNG 수출업체인 셰니에르 에너지(Cheniere Energy)는 2040년까지 연간 255만톤을 공급할 예정이다.

아나톨 페이긴(Anatol Feygin) 셰니에르 최고영업이사는 "우리는 수 십 년동안 유럽에서 천연가스에 대한 상당한 수요를 계속 확인하고 있으며 특히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LNG 수출업체 벤처 글로벌 LNG(Venture Global LNG)도 독일 국영기업인 SEFE(Securing Energy For Europe)와 20년동안 연간 225만톤의 연료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일부 유럽 정치인과 기후운동가 사이에서는 가스 수입을 확대하고 미국 공급업체와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EU의 기후목표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아란 커프(Ciaran Cuffe) 아일랜드 녹색당 의원은 "화석연료 인프라의 증가는 기후목표에 역행한다"며 "LNG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것은 근시안적인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또 그는 "궁극적으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고 이미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아일랜드 정부 당국은 부유식 LNG 수입 터미널 건설을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에이몬 라이언(Eamon Ryan) 아일랜드 환경부 장관은 "전세계가 불타고 있는 상황에서 가스 사용을 확대할 수는 없다"고 일축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사회혁신기업 지원한다...'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

하나금융그룹이 사회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를 지난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개최했다고

우리은행, 기후취약계층에 한파대응 물품과 김장김치 전달

우리은행이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겨울나기를 돕는 데 나섰다.우리은행은 홀몸어르신, 쪽방촌 저소득주민, 장애인 가구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따뜻

쉐코 해상방제로봇 'CES 2024' 2개부문 혁신상 수상

SK이노베이션이 육성하는 환경소셜벤처 쉐코가 내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4'를 앞두고 발표된 'CES 혁

토요타·폭스바겐·현대기아...SUV 판매증가로 탄소저감 노력 '물거품'

연비가 낮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비중이 늘면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전기차 판매로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압도하고 있어 자동차 제조기업들

KT, ESG 벤처지원 프로그램 '따뜻한기술더하기' 성과공유회 개최

KT가 '따뜻한기술더하기' 챌린지의 6개월간 일정을 마치고 참여한 기업의 결과물을 공유하는 '최종 성과 공유회'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따뜻한기술

제주도, 쓰레기로 12억원 벌었다

제주도가 올해 쓰레기를 수거해 12억원 이상 벌었다.28일 제주도는 올해 10월말까지 제주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로 반입된 재활용품 5687톤 가운데 4944톤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