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특별법 제정해 정부 주도로 추진해야" 한목소리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15 16:07:05
  • -
  • +
  • 인쇄
정체된 해상풍력 비중 신재생E 중 고작 0.4%
주민수용성·입지선정 법적 테두리 마련해야


늘어나는 재생에너지 수요를 해상풍력으로 조달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특별법'을 제정해 정부 주도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김상협 위원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해상풍력 제도 마련을 위한 2023 긴급세미나'에서 "3면이 바다로 해상잠재력이 풍부한 우리나라에서 지난 2022년 해상풍력의 누적설치용량은 전체 신재생에너지 설치량인 26.9GW 중 0.4%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이어 "인허가 과정이 보통 복잡한 게 아니고, 바다를 생업으로 삼아온 어민들과의 갈등 해결이 쉽지 않은 탓"이라며 "원스탑 형태로 일괄처리될 수 있도록 국가가 나서서 조정과 배분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려면 정부 허가를 받은 사업자가 입지를 선정하고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어민들과의 합의도 해야 한다. 인허가를 받는 기간만 68개월이고, 어민과의 마찰 등으로 사업진행이 지연되기 일쑤다. 민간 주도의 사업추진은 이처럼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기 때문에 해상풍력발전이 진척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해외에서는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정부가 직접 적합한 입지를 발굴하고 법적 기반하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어민과 긴밀히 협의를 거친 뒤 경쟁입차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는 구조여서 사업진행 속도가 빠른 편이다.

백옥선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해상풍력 계획입지 법체계 구축의 의미와 과제'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해외에서는 해상풍력에 대해 별도의 법을 제정해 추진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우리나라도 해상풍력특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백 교수는 "해상풍력특별법이 마련되면 하위법령을 통해 주요 쟁점을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상풍력특별법이 제정되면 이 법을 근거로 정부가 입지를 선정하고 입찰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상풍력사업에 뛰어드는 사업자들도 준공시기와 발전단가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과감한 투자로 해상풍력산업을 빠르게 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입지를 선정할 때 어민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시민참여형 입지선정제도'를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지욱철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어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는 통영 욕지도 남쪽 해상에 대해 "수심이 40m로 얕아 지주식 풍력설비를 세우기 적합하지만, 동시에 암반이 발달한 황금어장"이라며 "어민들도 재생에너지에 찬성하지만 기업 위주로만 진행하면 갈등이 해소될 수 없기 때문에 공존을 위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욱철 의장도 '해상풍력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공감했다. 그는 "해상풍력특별법은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는 정책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며 "지역에 새로운 사업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생산된 전력 대부분이 수도권에서 사용되는만큼 손실률도 크기 때문에 거리에 따른 요금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해상풍력 사업자들도 바다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요지까지 보내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독일 발전기업인 RWE의 문고영 한국 법인 대표는 "계통접속을 위한 국가공용망을 늘릴 필요가 있다"면서 "이 설비를 확충하는 자금을 누가 조달하고 언제까지 준공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해상풍력특별법이 통과되더라도 1년 뒤에나 시행되기 때문에 그 이전에 사업자들이 사전검토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국가공용망 확충계획을 수립하고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자체들 역시 해상풍력특별법 제정에 찬성하는 분위기다. 보령시 에너지과 문혜경 그린에너지팀장은 "군작전성 평가나 전체 전력요금체계 등 지자체 공무원으로서 할 수 없는 영역들이 있다"며 "사업이 진행되는 곳에서 주민들과 사업자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담아지려면 지자체 협력이 반드시 필요한데, 법적 기반이 마련되면 관련 내용을 추진할 조직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전북도, 다회용기 민간사업자 모집

전북특별자치도가 '2026 다회용기 사용 촉진 지원사업'을 수행할 민간 사업자를 오는 12월 24일까지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이는 자원 순환을 목표로 도

기후/환경

+

[COP30] AI는 기후위기 해결사? 새로운 위협?

인공지능(AI) 기술이 기후대응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막대한 전기수요를 발생시켜 기후위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18일(현

섬에서 새로 발견된 미기록 곤충 55.5% '열대·아열대성'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농촌 기후대응 직불금' 도입되나...기후보험 대상 확대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이 바뀌는 경우나 기후변화 대응 품종을 도입할 때 직불금을 주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정부는 19

韓 기후대응지수 63위로 또 '꼴찌' 수준...잃어버린 3년의 결과?

우리나라의 기후대응 지수가 전세계 63위를 기록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또 '꼴찌' 수준을 기록했다.18일(현지시간) 공개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Climate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OP30] '합의문' 초안 나왔다...탈탄소 격차해소·기후재원 마련 '관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합의문 초안이 공개됐다.18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G1과 AP·로이터통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