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4] 정의선 현대차 회장 "수소는 미래 위한 준비...생태계 구축 앞장"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9 10:30:43
  • -
  • +
  • 인쇄
▲CES 2024 개막전 미디어데이를 개최한 현대차그룹 (사진=현대차그룹)

"수소는 저희 대가 아닌 후대를 위해 준비해놓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박람회 'CES 2024' 개막에 앞서 8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가진 미디어데이에서 이같이 밝혔다.

'CES 2024'에서 '수소와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 : Ease every way'이라는 주제로 참가하는 현대차는 미디어데이를 통해 △수소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종합 '수소' 솔루션과 △사람·모빌리티·데이터·도시를 잇는 생태계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혁신 등 수소가 가져다줄 미래비전에 대해 제시했다.

이날 현대차는 기존 연료전지 브랜드인 'HTWO'를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로 확장하겠다고 선언하며 'HTWO 그리드(Grid)' 솔루션을 발표했다. 'HTWO'는 그룹 내 각 계열사의 역량을 결합해 수소의 생산 및 저장, 운송, 활용 모든 단계에서 다양한 환경적 특성과 고객 수요에 맞춰 단위 솔루션(그리드)을 결합해 최적화된 맞춤형 패키지를 제공한다.

먼저 현대차는 개발중인 수소생산 관련 기술들을 공개했다. 탄소배출이 없이 신재생에너지로만 생산되는 청정에너지 '그린수소' 양산을 위해 수 년 내로 메가와트(MW)급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기 양산화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PEM 수전해란 화합물없이 물만을 원료로 사용해 수소 순도가 높고 소형화가 가능한 수소생산 기술 중 하나다.

PEM 수전해 방식은 현재 수소생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알카라인 수전해 방식보다 생산비용이 약 1.5배 정도 비싼 편이지만, 향후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부품 및 생산 인프라 공용화를 통해 생산단가를 낮추겠다는 게 현대차의 목표다.

또 현대차는 폐기물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기술도 공개했다. 현대차가 추진중인 생산기술은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W2H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전환하는 P2H 두가지로 구분된다.

W2H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침전물), 가축분뇨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로 만든 후, 이를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지역 내 수소 생산 거점을 만들 수 있어 수소 운반 및 저장 과정의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수소 자원의 독립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2H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플라스틱을 액체 상태로 녹이고 가스화 공정을 통해 합성가스를 생산한 다음, 이를 정제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생산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생산뿐만 아니라 저장, 운송 및 활용 기술도 개발중이다. 저장 및 운송 기술 적용사례로 현재 서울 광진구에서 이동형 수소충전소 'H 무빙스테이션(Moving Station)'을 운영중하고 있는 현대차는 향후 제주도 등으로 이동형 수소충전소를 확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수소 에너지 활용에 있어서도 도시의 거리, 하늘 그리고 바다까지 현대차그룹은 고객들의 다양한 용도와 규모에 맞춰 수소 모빌리티 솔루션 패키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현대차그룹은 수소관련 실증사업에 적극 참여하면서 프로젝트별 맞춤형 HTWO 그리드 솔루션을 확산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 정부, 민간 합작 프로젝트에는 W2H 생산 모델 중심의 HTWO 그리드 솔루션이 제공된다. 인도네시아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 솔루션 도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주요 생산 거점이 위치한 서부 자바주에 적용되는 W2H 생산 모델 중심의 솔루션으로 지역단위 에너지 자립 문제해결이 가능해질 것이며 이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 항만 친환경 트럭 도입 프로젝트'에 수소전기차 30대가 참여해 품질검증 및 배기가스 감소 등을 테스트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수소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인 'H2Hub4'프로그램에도 참여해 매타 플랜트가 건설되고 있는 조지아주와도 사바나 지역의 청정 물류 프로젝트를 준비한다.

이밖에도 수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현대차그룹은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최종 사용자로서 연간 수소 소비량을 지난해 1.3만톤(t)에서 2035년까지 약 300만t으로 늘릴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현대차는 승용 수소전기차(FCEV)분야에서도 시장 리더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넥쏘(NEXO) 후속 모델을 2025년까지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는 차세대 에너지인 수소를 강조함과 동시에 '사용자 중심'의 최적화된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AI)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소프트웨어 중심의 대전환을 위한 그룹 중장기 전략 SDx를 발표했다. 현대차가 목표하는 SDx는 모든 이동 솔루션 및 서비스가 자동화, 자율화되고 끊김없이 연결돼 사용자 각자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이동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현대차는 'CES 2024' 기간동안, HTWO 그리드 솔루션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들과 총 9개의 수소 실증 기술 및 진행중인 사업 내용을 소개하고 현대차그룹이 보유한 주요 소프트웨어 및 AI 실증기술을 실물 전시와 영상 콘텐츠로 선보일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