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죽 늘어나는 치즈...이제 식물성 단백질로도 가능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2 13:27:58
  • -
  • +
  • 인쇄

동물성 우유를 넣지 않아도 우유를 넣은 것처럼 길게 늘어나는 식감의 치즈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이스라엘의 대체식품기업 데어리엑스(DairyX)는 유전자 조작된 효모 균주를 사용해 유제품 단백질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카제인'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카제인(카세인) 단백질은 일반 치즈와 요거트에 크림처럼 부드럽고 길게 늘어나는 식감을 형성한다. 기존 식물성 치즈는 안정제, 유화제, 증점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지만 이 카제인 단백질이 없어 일반 치즈처럼 부드럽게 늘어나지 못한다.

이에 데어리엑스는 카제인 단백질을 만드는 효모 균주를 개발하고, 치즈를 만들 때와 같은 방식으로 이 식물성 카제인 단백질을 응고시키면 부드럽게 늘어나는 식감을 가진 치즈를 만들었다. 데어리엑스의 갈릿 쿠즈네츠 연구원은 "이 제품은 (소에 사용되는) 호르몬과 항생제가 없는 치즈"라고 강조했다.

분석에 따르면 데어리엑스의 발효 카제인으로 치즈를 생산할 경우 일반 유제품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감소시킨다. 카제인 생산 후 남은 효모를 재사용하면 온실가스를 90%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 단백질 개발을 지원하는 굿푸드인스티튜트 유럽지사의 스텔라 차일드 박사는 "카제인 단백질을 생산하면 생산비용을 줄이고 첨가물의 필요성을 없애 저렴하고 매력적인 제품을 시장에 더 빨리 출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데어리엑스는 가장 많은 양의 단백질을 생산하는 효모 균주를 골라 동물성 카제인 단백질과 동일한 가격으로 비용을 낮추는 작업을 하고 있다.

아리크 리브킨 데어리엑스 설립자에 따르면 유제품에서 동물성 우유를 빼려는 노력은 1970년대 후반부터 이뤄졌다. 10년 동안 비건식단을 고수해왔다는 그는 음식에 좋은 치즈를 넣지 못한다는 좌절감이 개발 동기가 됐다고 밝혔다.

리브킨 설립자는 "이제 소비자가 원하는 정확한 유제품을 만드는 동시에 소가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데어리엑스는 2027년까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데 필요한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발효 카제인을 개발중인 다른 업체로는 모짜렐라 치즈에 주력하고 있는 미국의 뉴컬처(New Culture)와 무소 우유를 타깃으로 하는 호주의 에덴브루(Eden Brew), 올지푸드(All G Foods), 푸드티브(Fooditive), 스탠딩 오베이션(Standing Ovation) 등이 있다.

식물 종자에서 카제인 단백질을 재배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뉴무(NewMoo)와 식물성 효모에서 유청 분말을 생산하는 뉴질랜드의 데이지랩(Daisy Lab)과 같은 기업들도 동물성 유제품 단백질을 대체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