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기업들 뿔났다..."저탄소 제품 의무사용 확대하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8 18:09:05
  • -
  • +
  • 인쇄


쉘과 BP 등 유럽연합(EU)의 60여개 기업들이 저탄소제품에 대한 구매를 의무화해줄 것을 당국에 요구하고 나섰다. 

18일(현지시간) 쉘(Shell)과 BP, 타타스틸(Tata Steel)을 포함한 유럽에 있는 제조업체들은 에너지전환이 촉진될 수 있도록 소비자들이 저탄소제품을 구매하도록 강제하는 방안을 검토해줄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EU집행위원회에 전달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했다. 

이날 보낸 서한에는 "생산공정에 탄소저감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기업들은 높은 투자비 때문에 가격경쟁력에서 밀리고 있다"면서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당국이 나서서 저탄소제품에 대한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만약 당국이 이같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기업들은 퇴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화석연료는 생산공정과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전세계 배출량의 8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막대하다. 이에 과학기반목표 이니셔티브(Science-based Targets Initiative)는 "기후변화의 가장 재앙적인 영향을 막으려면 석유와 가스산업의 탈탄소화 청사진이 필요하다"며 에너지부문에 새로운 표준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EU기업들의 이같은 요구는 소비자 물가상승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비롯해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이미 에너지 가격이 치솟은 상황에서 또다시 물가상승을 부채질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자칫 소비자들에게 구매를 강제했다가 반대급부로 온실가스를 감축하지 않는 제품 수요를 늘려주는 역풍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EU는 현재 탄소집약도가 높은 수입원자재에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하고 있는데, 서한을 보낸 기업들은 CBAM에 대해서도 "현재 조치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면서 "원자재뿐 아니라 자동차나 가구, 장난감 등 반제품과 완제품에 대해서도 탄소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항공업계에 지속가능한 연료사용을 의무화한 것처럼 저탄소 연료를 비롯해 플라스틱, 합성품, 고무, 강철, 건축자재 제품들도 사용을 의무화시키는 등 강제 조치에 포함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그러면서 "유럽 기업들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추가 비용을 더이상 자체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서한을 보낸 배경을 설명했다.

쉘과 BP뿐 아니라 바이오연료 생산업체 네스테(Neste)와 플라스틱 원료 생산업체 블루서클 올레핀스(BlueCircle Olefins) 그리고 독일 전력회사 RWE, 스웨덴 바텐팔(Vattenfall), 덴마크 풍력에너지그룹 외르스테드(Ørsted) 등도 이 서한에 서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