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5-07 12:40:28
  • -
  • +
  • 인쇄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탄소배출량 관리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5년 설립된 국제단체 항공행동촉구(Call Aviation to Action)는 "항공업계가 배출량 감축 조치를 거의 하지 않고 있다"면서 "항공업계가 대체연료, 탄소 무배출 항공기 등을 개발하지 않는다면 큰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6일(현지시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네덜란드 항공사 KLM의 지속가능성 부사장을 역임하고 항공행동촉구를 공동설립한 카렐 보크스탈은 "우리가 행동하지 않는다면 2050년 항공부문 배출량은 인간이 유발하는 배출량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게 될 것"라고 말했다. 

항공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국제적인 특성으로 인해 각국이 유엔 기후기구에 제출하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서 제외된다. 대신 유엔의 항공기구인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항공사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관리를 맡는다.

보크스탈은 "ICAO가 책임을 다하는 데 있어 실패했다"며 "8년간의 논의 끝에 나온 유일한 방안이 '코르시아(CORSIA)' 제도인데, 이는 일정기준 이상의 항공산업에 대한 탄소를 상쇄해줄 뿐, 다른 산업에 문제를 떠넘기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국제 항공 탄소 상쇄 및 감축 계획(CORSIA)은 기술혁신, 운영개선, 지속가능한 항공연료 등 항공부문의 다른 배출 감축 노력을 보완해 ICAO의 탄소중립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도다. 그러나 감축 목표가 낮고, 아직 어떤 항공사에도 탄소배출 책임크레딧 사용을 요구하지 않아 문제가 많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보크스탈은 "ICAO의 장기적 목표(2050 넷제로)에도 불구하고 항공산업의 절대적 영향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ICAO는 IPCC 등 유엔 산하의 다른 기후기구와 달리 투명성 부족으로 비판받고 있다. 이는 관련업계가 외부의 감시없이 기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항공업계는 ICAO의 환경 협상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온 것으로 올 2월 가디언 취재결과 드러났다. 유엔 기후정상회의와는 달리, ICAO 행사는 관련 기업들의 후원을 받고 있다. 2024년 10월 ICAO에서 진행한 항공 배출량 감축에 대한 점검 행사는 엑손모빌, 셸 항공, 에어버스 그리고 항공사를 위한 주요 무역기구인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후원을 받은 바 있다.

전문가들은 항공업계의 배출량 감소계획이 앞으로 늘어나게 될 항공운송량을 상쇄하기에 너무 낮다고 지적한다. 특히 항공기의 연비 개선은 현재 정체돼 있다는 것이다. 수소연료 항공기를 개발하는 에어버스는 목표했던 운항 시점을 2045년으로 미뤘다. 이 때문에 2030년대 중반까지 모든 신규 항공기는 운항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항공행동촉구는 "항공업계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예산에 맞춰 절대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기후정책에 반대하는 로비활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항공업계는 전세계 항공 수요를 공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해결책의 일부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ICAO는 오는 2042년까지 항공 탑승객이 2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항공은 거리당 다른 어떤 교통수단보다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주로 부유한 사람들이 이용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50%는 전세계 인구의 1%에 의해 발생하고, 매년 비행기를 타는 사람은 10%에 불과하다. 2018년에는 전세계 인구의 2~4%만이 국제선을 이용했다. 당시 보잉항공의 CEO는 "2017년 기준 전세계 인구의 80%는 평생 비행기를 타본 적이 없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특히 항공행동촉구는 "2015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탄소배출량이 조정되면, 항공업에 남은 탄소예산을 할애할 가능성은 낮아보인다"며 "항공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효율성 개선, 기술혁신 및 대체연료 배치 외의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두나무 인수한 네이버...AI와 블록체인 앞세워 '글로벌 금융' 노린다

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가 네이버 품에 안기면서 20조원 규모의 금융플랫폼이 탄생했다. 26일 네이버와 두나무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

'비상경영' 롯데 인적쇄신...부회장 전원 용퇴에 CEO 20명 '물갈이'

롯데그룹이 부회장단 전원 교체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20명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롯데그룹은 2026년 임원인사에서 9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銀, 사회적경제기업 10곳 선정…최대 2000만원 지원

우리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 '임팩트 챌린지' 공모를 시작했다.우리은행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2025년 우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기후/환경

+

플라스틱 문제 일으키는 '조화'...인천가족공원서 반입 금지될듯

인천가족공원에 플라스틱 조화(造花) 반입을 자제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이 추진된다.26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산업경제위원회를 통과한 '인천시

'2.5°C' 상승한 우즈베키스탄…극심한 가뭄에 이미 위기상태

우즈베키스탄 일부 지역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2.5°C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물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