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Z' 출시 앞두고 단통법 폐지...'쩐의 전쟁' 시작되나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8 11:49:05
  • -
  • +
  • 인쇄
▲오는 22일 단통법 폐지로 이통3사 보조금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사진=연합뉴스)


이통시장 과열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2014년 도입됐던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삼성전자 신규 스마트폰 '갤럭시Z' 시리즈 출시를 코앞에 두고 오는 22일 폐지될 예정이어서 이통사들이 '쩐의 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특히 SKT 해킹 사태로 지각변동이 일어났던 번호이동 시장에 11년만에 폐지되는 단통법이 어떤 여파를 미칠지도 관심사다.

단통법은 단말기 지원금이 일부 소비자에게만 과도하게 지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시행됐다. 하지만 전체 보조금 액수가 제한되면서 전반적인 소비자 구매가가 높아지는 등 부작용 지적이 끊이지 않으면서 결국 폐지가 결정했다. 단통법이 폐지되면 일단 이통사의 단말지 지원금 상한선이 사라진다. 그리고 이통사들은 지원금을 공시할 의무도 없다. 또 공시지원금의 15% 이내에서만 지급할 수 있던 유통점의 추가지원금 상한도 함께 없어진다.

소비자들은 공시지원금과 25% 요금할인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종전에는 공시지원금을 받지 않고 요금할인을 택할 경우 유통점의 추가지원금을 받을 수 없었지만, 앞으로는 요금할인을 선택해도 유통점의 추가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통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여서 단통법이 폐지되더라도 과거와 같이 출혈경쟁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실제로 지난해 단통법 폐기를 결정할 당시만 해도 이통시장은 비교적 평온했다. 하지만 최근 SKT의 해킹 사태로 이통3사의 가입자 지형이 크게 흔들린 상태이긴 때문에 단통법 폐지를 계기로 가입자 유치를 위한 '쩐의 전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는 예측이 더 우세하다. 

SKT는 4월말 해킹 사태가 불거지면서 지금까지 100만명 이상의 가입자가 이탈했다. 이 가입자들은 대부분 KT와 LG유플러스로 번호이동했다. 이에 SKT는 오는 25일 삼성전자 신규 폴더블폰 '갤럭시Z 폴드7·플립7'이 국내 출시되는 것을 계기로 가입자 끌어오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때마침 단통법까지 폐지됐으니, SKT 입장에서는 호기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지원금이 출고가를 넘는 이른바 '공짜폰'이 부활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앞서 SKT 해킹 사태로 발생한 이탈자 유치를 위해 소위 '성지'라고 불리는 일부 유통점에서 타사 번호이동 고객에게 120만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상한선이 없어지면 경쟁이 얼마나 치열해질지 예상하기 어려울 정도다. 통신 가입자 커뮤니티에서도 단통법 폐지로 인한 '통신사 대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단통법 폐지와 삼성 신규폰 출시, SKT 해킹 사태 등이 겹치면서 이통3사 경쟁의 장이 열려버렸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오는 7월 말부터 8월까지가 휴대폰 구매의 적기일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어 "통신사들이 경쟁 과열을 우려해 지원금을 동결할 가능성도 있지만, 최근 누적 100만명의 이탈자가 발생한 SKT 입장에서는 출혈을 각오하고 경쟁에 뛰어들 동기가 충분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기후/환경

+

해초 덩어리 '넵튠 볼'...미세플라스틱 필터가 된다고?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지면서, 해초와 미세플라스틱이 공처럼 뭉쳐진 이른바 '넵튠 볼'이 지중해 해변에 떠밀려오고 있다.스페인 바르셀로나

중앙아시아 빙하도 남극의 빙산도 '빠르게 줄고 있다'

기후변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견고하기로 소문난 중앙아시아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고, 세계 최대 빙산의 하나로 꼽히는 남극의 '메가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아프간 동부 연속 지진에 '폐허'...사망자 하루새 2배 늘어

2년만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또 지진이 발생해 수천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이번 지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오후 11시47분쯤 아프간 동부 낭가르하르주

태풍 '페이파' 日 향해 북상...강릉에 '가뭄에 단비' 될까?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상에서 생성된 열대저압부가 곧 제15호 태풍으로 발달해 북동진한다는 이동경로가 발표되면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을

강릉 저수율 14% 붕괴...제한급수인데 수돗물 사용량이 그대로?

강릉 시민들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3.9%까지 내려갔다. 소방차와 물탱크 차량까지 동원해 저수지에 물을 쏟아붓고 있지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