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국익에 충돌된다"는 명분을 내세워 유엔 산하 교육·과학·문화기구 유네스코(UNESCO)를 탈퇴한다. 이번 탈퇴는 1984년과 2017년 이은 세번째로, 2026년 12월말부터 발효된다.
미국 국무부는 22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유네스코는 분열적인 사회·문화적 의제를 추구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심의 세계주의적 개발 노선은 미국의 국익과 상충된다"고 밝혔다. 이어 "팔레스타인을 회원국으로 인정한 것은 반이스라엘적 수사 확산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유네스코 사무총장 오드레 아줄레는 "이번 결정은 유감스럽지만 예상된 일이었으며, 우리는 충분히 대비해왔다"고 밝혔다. 아줄레는 "미국 내 세계유산등재 추진지역, 창의도시 후보, 유네스코 석좌 등이 영향을 받을 것이고, 현재 미국 기여금은 전체 예산의 8%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은 미국의 결정을 즉각 환영했다. 이스라엘 유엔대사 대니 다논은 "유네스코는 오랫동안 잘못된 반이스라엘적 편향을 보여왔다"고 비판했다. 이스라엘 외무장관 기디온 사르도 "워싱턴의 도덕적 리더십에 감사를 표한다"고 밝혔다.
반면 프랑스는 "전세계 유산보호에 대한 유네스코의 보편적 책무는 계속돼야 한다"며 "미국의 결정은 프랑스의 의지를 약화시키지 않는다"고 대응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유네스코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미국은 유네스코 창립국이지만 1984년 냉전기에 탈퇴했다가 2003년 조지 부시 대통령 시절 복귀했다. 또 2011년 팔레스타인을 회원국으로 승인한 이후 오바마 행정부는 분담금 지급을 중단했다. 이후 2017년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탈퇴했다가, 2023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복귀했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우선주의(America First)' 외교 기조를 재확인하는 조치다. 앞서 세계보건기구(WHO), 파리기후변화협약, 유엔인권이사회 등 다자기구에서도 탈퇴 또는 활동 중단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유네스코는 1945년 설립돼 세계유산 지정, 생물권 보전지역 관리, 인공지능 윤리 규범 수립, 무력분쟁 지역 교육·문화 지원 등의 역할을 해왔다. 미국 내에도 자유의여신상 등 26곳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유네스코 측은 "미국과의 민간·학계 협력은 계속될 것"이라며 "우리는 모든 국가의 참여를 환영한다. 미국 역시 언제든 돌아올 수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