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오는 10월부터 중소형 폐가전제품뿐만 아니라 폐전지류까지 무상으로 통합수거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29일 오후 용인시 처인구 수도권재활용센터에서 도내 27개 시군과 'e-순환거버넌스와 폐가전제품·폐전지류 통합 수거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재 보조배터리, 무선 생활가전제품 등으로 이차전지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차전지를 버리는 방법을 잘 몰라 실내에 방치하거나 비용을 주고 처리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고 장기간 방치시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도 우려됐다.
이에 경기도는 이차 폐전지류를 쉽고 안전하게 버릴 수 있도록 수거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수거 기반시설(인프라) 구축, 제도 홍보 등 상호협력할 계획이다.
우선 경기도는 제도적·정책적 기반을 지원하고, 시군은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수거 거점을 확대하고, 주민 홍보와 교육을 강화한다. e-순환거버넌스는 수거함 개발·설치, 수집·운반 등 지역별 수거시스템을 운영한다.
시행 지역은 수원, 용인, 화성, 성남, 부천, 남양주, 평택, 안양, 시흥, 파주, 김포, 의정부, 광주, 광명, 군포, 양주, 오산, 이천, 안성, 의왕, 포천, 양평, 여주, 동두천, 과천, 가평, 연천 등 27개 시군이다.
공동주택과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기반을 구축하고 향후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으로 수거 기반을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공동주택은 시군에 참여신청서를 제출하면 e-순환거버넌스에서 순차적으로 수거함을 무상 보급한다. 수거일자와 설치장소는 상호 협의로 정해진다.
한편 경기도는 2024년 5월 3일 e-순환거버넌스(구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와 협약을 체결하고, 수원 등 19개 시군을 대상으로 중소형 폐가전제품의 무상 배출, 정기 수거체계 구축을 시행한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