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공식출범한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김성환 장관이 기업 최고경영자(CEO)들 앞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철강 등 탄소 고배출 업종에 대해 정부가 투자비의 30%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성환 장관은 1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열린 CEO 조찬간담회에서 "산업계가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전기요금 추가 인상은 최대한 억제하겠다"면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전기요금을 오히려 절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전기요금에 대한 정책결정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담당했지만, 정부조직개편으로 에너지 업무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관됐다. 이에 따라 전기요금은 이제 김성환 장관의 소임이 됐기에 이날 이같은 발언을 한 것이다.
김 장관은 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 전기요금이 상승할 것이라는 국민적 우려를 의식한듯 "세계적으로 가장 저렴한 전원이 이미 풍력과 태양광으로 바뀌었다"고 강조하면서 "우리나라는 아직 재생발전의 단가가 높지만 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대하고 기술을 발전시키면 요금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가 확대가 오히려 전기요금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탈탄소에 대한 실행력도 강조했다. 김 장관은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탄소 고배출 업종은 민간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다"며 "정부가 총투자비의 30%를 부담해 구조전환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현대차·기아의 전동화, 포스코의 수소환원 제철, 건물·농기계 전기화 등 산업 전반의 전환 속도를 높여야 한다며 속도전을 주문했다.
이날 박종찬 대한상의 회장은 "최근 3년간 산업용 전기요금이 2배 가까이 올라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완화 대책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업계의 어려움을 충분히 알고 있으며, 전기요금 문제가 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책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끝으로 "기후위기를 막으면서 산업 경쟁력을 살리는 길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환 속도전뿐"이라며 "이번 전환을 기회로 삼아 한국이 녹색문명의 주역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 박종찬 파주상의 회장을 비롯한 전국상공회의소 회장과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정기옥 LSC푸드 회장 등 서울상의 부회장, 김원현 OCI 사장, 허성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 등 기업인 250여명이 참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