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정책

thumbimg

야생동물 '로드킬' 1년새 72% 증가...국립공원도 안전지대 아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찻길 사고로 죽은 동물 6만3989마리 가운데 국립공원에서 로드킬로 죽거나 다친 야생동물이 350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이 다수 포함돼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2023-10-10 15:57:54 [김나윤]

thumbimg

동물원에서 죽어가는 멸종위기종...5년간 2000여마리 폐사
▲동물학대 논란이 일었을 정도로 비쩍 말랐던 수사자 '바람이' (사진=부산학대방지연합) 지난 7월, 갈비뼈가 앙상하게 드러나 학대논란이 빚어졌던 수사자 '바람이'처럼 최근 5년간 동물원에서 죽어나간 멸종위기종은 무려 2000여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1...2023-10-10 14:19:23 [조인준]

thumbimg

AI 수거로봇·스마트 보관서비스...11건 규제특례 지정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26일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열린 '제30차 정보통신기술(ICT) 규제샌드박스 심의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제30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를 개최...2023-09-26 18:24:54 [이재은]

thumbimg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허가없이 ESS 재조립 가능
▲(사진=연합뉴스TV) 전기차 폐배터리를 분해해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 한국수자원공사의 해외 하수도사업 진출도 허용된다.환경부는 22일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제9차 적극행정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담긴 3개의 안건을...2023-09-22 16:14:17 [김나윤]

thumbimg

내년부터 개인도 '탄소배출권' 사고 판다
(사진=연합뉴스) 내년부터 주식처럼 개인도 온실가스 배출권을 사고 팔 수 있는 배출권 시장이 열린다.정부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8차 배출권할당위원회에서 내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 상장지수펀드(ETF), 2025년부터 선물시장 도입을 골자로 담은 '배...2023-09-20 17:40:46 [이재은]

thumbimg

경기도, 탄소중립 비전 '스위치 더 경기' 발표..."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
▲환경산업 신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3년 경기환경산업전'(Eco Fair Korea)이 2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가운데 경기도와 대한석유협회장, 대한LPG협회, 농협경제지주회사가 'RE100 충전소 구축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맺었다. 왼쪽부터 정동...2023-09-20 16:35:36 [이재은]

thumbimg

레이저 발사해 대기오염 감시...경기도 '스캐닝 라이다' 도입
▲대기오염원 감시 스캐닝 라이다 (사진=경기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 경기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가 '스캐닝 라이다' 등 첨단감시장비를 활용한 과학적 환경관리 체계를 구축한다.15일 경기도는 대기오염원 감시 스캐닝 라이다를 지난 14일 한국공학대학교 제2캠퍼스 옥상에...2023-09-15 13:25:12 [이재은]

thumbimg

대한민국 초거대 AI 도약국가 만든다...정부, 9000억 투입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가운데)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20차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대한민국 초거대 AI 도약 회의에서 관계자의 안내를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9000억원을 들여 '전국민 인공지능(AI) 일상화'를 추진하고 초거...2023-09-13 17:33:27 [김나윤]

thumbimg

'일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 철회하나?...지자체 자율 전환 검토
환경부가 일회용컵 보증금제 시행을 놓고 지방자치단체 자율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당초 약속한 전국 의무시행을 유예해오다가 제주와 세종으로 축소 시행하던 것을 사실상 철회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13일 환경부는 지자체가 보증금제를 자율적으로 ...2023-09-13 14:09:40 [김나윤]

thumbimg

월 6만5000원에 대중교통 '무제한'...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도입
월 6만5000원을 내면 서울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모두 무제한 이용하는 교통카드가 나온다.서울시는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이용권 '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를 2024년 1∼5월 시범운영한다고 11일...2023-09-11 17:07:15 [이재은]

thumbimg

그리너지-경기도, 여주에 방산용 K-배터리 생산라인 '첫삽'
▲그리너지 방산용 K-배터리 신소재 생산시설 기공식 (사진=경기도) 2차전지 신소재 기업 그리너지가 경기도 여주에 방위산업용 K-배터리 신소재 생산라인 구축을 위한 공사를 시작했다.11일 경기도의 대표적 규제 중첩지역인 경기동부권역 여주시 점동면에서 그리너지 ...2023-09-11 16:46:58 [이재은]

thumbimg

정부, 내년도 관광예산 10.7% 증액...마이스 예산은 '싹둑'
▲문화체육관광부는 2024년 관광부문 예산을 총 1조3664억원 편성했다. (자료=문화체육관광부) 정부가 내년도 마이스(MICE) 예산을 24억원 줄인 304억원으로 편성했다. 이는 내년도 관광부문 예산을 올해보다 1325억원 늘린 1조3664억원으로 편성한 ...2023-09-08 14:43:53 [김나윤]

Video

+

ESG

+

녹색전환연구소 'RE100' 첫걸음...상반기 전력사용분 REC 구매

녹색전환연구소가 RE100 달성을 위해 올 1~7월 사용한 전력만큼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했다고 20일 밝혔다. 8~12월 사용분은 내년 상반기에 추가

KB국민은행, 중소·중견 대상 '우리기업 탄소기업 첫걸음' 이벤트

KB국민은행이 온라인 플랫폼 'KB 탄소관리시스템' 신규 등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 탄소관리 첫걸음'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0

[ESG;NOW] 하이트진로 탄소배출량 감축했다고?...생산량 감소로 '착시'

하이트진로가 최근 2년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9% 감축한 것으로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판매량 감소로 인한 착시현상인 것으로 드러났다.하이트진로의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기후/환경

+

"담배필터 금지해야"...유해물질 못거르고 미세플라스틱만 흡입

담배 필터가 정작 유해물질을 거르는 기능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미세플라스틱만 인체로 흡입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최근 영국 중독연구협회 학술지

"종량제 이것 넣으면 과태료 100만원"...분리배출 '가짜뉴스' 판친다

'10월부터 종량제봉투 단속이 강화된다', '10월부터는 라면봉지 씻지 않고 버리면 10만원 과태료' 등 생활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해 유튜브에 가짜정보

녹색전환연구소 'RE100' 첫걸음...상반기 전력사용분 REC 구매

녹색전환연구소가 RE100 달성을 위해 올 1~7월 사용한 전력만큼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했다고 20일 밝혔다. 8~12월 사용분은 내년 상반기에 추가

국제해운 '탄소세' 연기에…기후솔루션 "2050 탄소중립 시계 멈췄다"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계 첫 탄소세 시장 도입이 최종 문턱에서 불발되자, 기후환경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녹색이 사라지는 바다...기후변화로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바다에서 녹색이 사라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과 중국 칭화대학 연구팀은 2001~2023년 중·저위도 해

트럼프 어깃장에...수년간 합의한 '해운 탄소세' 물거품되나?

당초 2027년부터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른바 '해운 탄소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 부딪혀 1년 이상 연기됐다.유엔 산하 국제해사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