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이야기

thumbimg

천대받던 우리글 '한글'로 명명한 주시경 선생
올해로 575돌을 맞은 10월 9일 '한글날'.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셨지만 '한글'이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바로 한힌샘 '주시경' 선생이다. 일제강점기에 대종교인들이 나라를 되찾고자 무력항쟁을 펼치던 때, 주시경 선생은 '언문'으로 불리며 천대받던 우리글에 처음...2021-10-09 08:04:02 [뉴스트리]

thumbimg

"역사 모르면 애국심 없다"...민족역사 강조한 '단재 신채호'
사학자이자 언론인 그리고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단재(丹齋) 신채호 선생. 그는 1897년 신기선의 추천으로 성균관에 들어가 1905년 성균관 박사가 됐다. 그해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황성신문'에 논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듬해 '대한매일신보' 주필로 활약했다. 1907년...2021-09-18 08:00:03 [뉴스트리]

thumbimg

30년 임시정부 지켜낸 '민족의 거인' 조완구 선생
조완구(趙琬九) 선생은 풍양 조씨 가문에서 1881년 3월 20일(음력) 부친 조동필과 모친 안동 김씨 사이에 3남 중 둘째로 태어났다. 자는 중담(仲淡)이고, 호는 우천(藕泉)이다. 15세 때인 1895년에 예조판서 홍승목의 장녀 홍정식과 결혼했다. 어려서 한학을 수...2021-09-11 09:00:03 [뉴스트리]

thumbimg

사대주의 일침날리며 역사 중요성 강조한 '백암 박은식'
한말의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백암 박은식 선생은 1859년 9월 30일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이며, 자는 성칠(聖七), 호는 겸곡(謙谷)·백암(白巖)·태백광노(太白狂奴) 등을 섰다. 대종교단에서는 박기정(朴箕貞)이라는 이름으...2021-09-04 08:00:02 [뉴스트리]

thumbimg

대종교 없었다면 임시정부 있었을까
대종교가 없었다면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27년간 존속할 수 있었을까.임시정부는 1919년 3월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그해에 상해에서 출범했다. 상해는 다른 나라와 연락하기도 편했지만 무엇보다 공동조계 등 특수구역이 있어 일제의 세력이 함부로 침범할 수 없는 이점이 있었다....2021-08-21 11:15:14 [뉴스트리]

thumbimg

78년만에 고국 돌아오는 독립군 영웅 '홍범도 장군'
홍범도 장군이 오는 8월 15일 광복절에 고국강토에 돌아오신다. 차디찬 중앙아시아 들판에 잠든지 어언 78년만에 그토록 바라시던 해방된 고국의 땅으로 돌아오신다. 홍범도 장군은 1868년 평양의 서문 밖에서 양반집 머슴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출산 후유증으로 돌...2021-08-12 08:00:02 [뉴스트리]

thumbimg

일제 벌벌 떨게 한 '백포 서일'...청산리전투 승리로 이끌다
백포(白圃) 서일(徐一)은 한국독립운동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지도자다.1920년 10월 21일 오전 9시, 청산리 백운평 계곡은 총탄이 빗발쳤다. 피로서 피를 청산하자는 의지를 다지며 대한군정서(북로군정서) 교성대(敎成隊)의 분노가 쏟아진 것이다. 이것이 청산리독립전...2021-08-07 12:28:17 [뉴스트리]

thumbimg

임시정부 수립 주춧돌 역할한 '예관 신규식'
예관 신규식(申圭植) 선생은 중국에서 우리 임시정부가 독립투쟁을 계속할 수 있도록 외교적으로 노력한 주역이다. 국력 배양과 민중 계몽 등 자립기반 확충운동을 총체적으로 전개한 인물이기도 하다.1879년 1월 13일 충북 문의군(현재 청원군)에서 중추원 의관을 역임한 신...2021-07-31 08:00:03 [뉴스트리]

thumbimg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정한 '민세 안재홍'
미 군정시절, 교육분과장을 맡으며 백낙준과 함께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제안해 정한 인물이 있다. 바로 민세 안재홍이다. 안재홍은 1891년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나 어린시절 한학을 배웠지만 일찍부터 국내외 정세에 관심이 많았다. 개화에 눈을 뜬 아버지가 서울을 자...2021-07-24 08:01:02 [뉴스트리]

thumbimg

전재산 독립운동에 헌납한 명문거족의 후예 '김교헌'
대종교의 2대 교주인 무원(茂園) 김교헌 선생은 340칸 대저택이 있을 정도로 명문거족의 후예였지만 독립운동의 길로 들어서면서 자신의 모든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에 바친 항일운동가로 유명하다. '대한독립선언문' 첫줄에 이름이 올라간 인물이기도 하다. 김교헌 선생은 186...2021-07-17 08:01:02 [뉴스트리]

thumbimg

일제도 놀란 전투력 '대한군정서'는 임시정부 군대였다
1919년 2월 설립된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일제치하에 수많은 독립운동조직 가운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왜 '대한군정서'를 공식적인 군사조직으로 인정한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면 대한군정서의 역사를 되짚지 않을 수 없다. 대한군정서는 1911년 3월 '백포 ...2021-07-09 15:22:11 [뉴스트리]

thumbimg

'김규식' 어떻게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할 수 있었나
'제국주의 전쟁'으로 일컬어지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세계질서는 재편됐다. 패전국들의 식민국가들은 '독립'의 기회를 맞았다. 연합국이던 러시아는 종전 직전인 1917년 10월 레닌이 중심이 된 볼셰비키에 의해 세계 최초로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되면서 식민국가들의 독...2021-07-04 08:01:01 [뉴스트리]

Video

+

ESG

+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쿠팡 물류센터 50대 근로자 사망...쿠팡 산재로 번질까 '화들짝'

연일 35℃에 달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21일 연합

기후/환경

+

아마존 보호해제...브라질 '콩 모라토리엄' 19년만에 중단

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콩 모라토리엄'을 19년만에 중단하면서 아마존 열대우림이 파괴될 위기에 처했다.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브라질

'나무' 심는 지역에 따라 온도 낮추는 '냉각효과' 다르다?

열대지방에 나무를 심으면 다른 지역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수 및 기후완화 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우주 태양광' 무탄소 전력의 대안?..."유럽 재생에너지 80% 대체 가능"

정지궤도 위성에서 수집한 태양광(SBSP)으로 전력을 생산하면 유럽지역 재생에너지의 80%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우주 태양광'이 무

트럼프, 폐쇄 예정인 석탄발전소 강제 재가동...비용은 소비자몫

재생에너지를 배척하고 화석연료를 지지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폐쇄 예정이던 석탄발전소를 강제로 재가동시켰다.20일(현지시간

경기도 시군과 기후위기 공동대응 위해 ‘기후소통 한마당' 개최

경기도가 시군과 기후위기를 공동대응하기 위해 22일 '기후소통 한마당'을 개최했다. 기후위기 대응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기후정책 실행력 제고 방안

되살아난 태풍 '링링' 日 규슈 강타...우리나라 영향은?

열대저압부로 소멸할 것으로 예상했던 제12호 태풍 '링링'이 세력이 되살아나 일본 남쪽지역을 강타하기 시작했다.일본 기상청과 현지언론에 따르면 '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