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먹잇감'된 종목들...증권사 목표價보다 싸다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05-06 08:11:28
  • -
  • +
  • 인쇄
공매도 취지와 관계없는 종목 집중 공격
순기능 잃은 공매도 제도 개선 요구 봇물
(사진=연합뉴스)

지난 3일 국내 증시에서 제한적으로 공매도가 허용된 후 2거래일(3일, 4일)동안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는 총 2조원 정도의 공매도 물량이 나왔다. 이는 두 시장 전체 거래대금의 3.9%에 달하는 규모다. 코스피는 3일 8299억원, 4일 7159억원으로 1조5458억원이, 코스닥에는 3일 2795억원, 4일 1761억원으로 4556억원의 공매도가 이뤄졌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거래일 동안 공매도가 몰린 종목은 전통적인 공매도 타깃 종목인 셀트리온과 씨젠 등 바이오주, 카카오와 같은 성장주를 비롯해 LG디스플레이, 삼성카드, 오뚜기, 파라다이스 등으로 나타났다.

바이오 업종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업종이나 종목군이 아닌 무차별 폭격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매도 상위 종목들에 대한 증권사들의 목표주가 등을 감안할 때 금융당국이 공매도의 순기능으로 내세운 지나친 고평가에 따른 리스크 완화와는 크게 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바이오업종의 대표주자인 셀트리온은 공매도와 악연이 깊은 종목이다. 이번에도 재개되자마자 3일 711억원, 4일 641억원 등 거래대금 1위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의 논리대로라면 셀트리온에 공매도가 몰리는 것은 지나치게 고평가돼 있거나, 아니면 주식 유동성이 부족해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는 주식이어야 한다.

하지만 셀트리온은 일 거래대금이 4000억원을 넘을 정도로 거래가 잘 이뤄지는 주식이다. 게다가 고평가 여부 역시 증권사들은 오히려 저평가 돼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사들의 셀트리온에 대한 평균 목표주가는 37만원대인 것에 비해 현재 주가는 26만원에 불과하다. 이것만 놓고 보면 셀트리온에 대한 공매도는 주식시장의 순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종목들 역시 비슷하다. 3일과 4일 모두 코스피 공매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LG디스플레이의 경우 현재 주가는 2만3950원이다. 반면 목표주가 평균은 3만3000원대로 1만원 정도 저평가돼 있다.

이틀 연속 공매도 거래대금이 전체 거래대금의 절반을 넘은 삼성카드와 역시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이 높은 오뚜기와 현대해상도 마찬가지다. 삼성카드의 주가는 3만3000원인데 목표주가는 4만4000원대다. 오뚜기의 주가는 53만6000원으로 목표주가 평균인 66만7000원보다 13만원 정도 싸다. 현대해상은 목표주가인 3만1000원대보다 8000원 정도 낮은 2만3300원을 기록중이다.

▲지난 2월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에서 운영한 공매도 반대 버스

코스닥 시장에서 이틀 연속 공매도 거래대금 1위를 기록한 씨젠은 목표주가와 현재가의 괴리가 더 크다. 증권사들의 평균 목표주가는 16만원인데 비해 현재 주가는 이 가격의 절반 정도인 8만3400원이다. 역시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종목인 셀트리온헬스케어나 케이엠더블유 역시 증권사 목표주가 평균에 비해 현재 주가가 싸다.

그나마 카카오 정도가 증권사 목표주가에 근접한 상태다. 하지만 카카오의 경우 매 분기마다 어닝서프라이즈를 보여주며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주가가 고평가돼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러다 보니 개인투자자들의 불만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청와대 청원게시판에는 수많은 '공매도 개선' 또는 '폐지' 등의 청원이 올라오고 있다.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나 주식관련 게시판에는 '대체 뭐가 공매도의 순기능'이라는 식의 게시글이 줄을 잇고 있다.

한 개인투자자는 "공매도 현황만 봐도 금융위원회에서 말하는 순기능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 느껴지는데, 금융당국만 이에 대해 눈을 감고 있는 것 같다"며 "코스피지수가 3000이 넘자 동학개미들 덕분이라고 할 때는 언제고 '눈가리고 아웅' 식으로 제도를 고치고 재개해 다시 개미들에게 눈물을 흘리게 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 전영현·노태문 '투톱' 체제…쇄신보다 '안정'에 방점

삼성전자 조직이 전영현 부회장과 노태문 사장 '두톱' 체제로 강화된다.21일 삼성전자는 반도체(DS) 사업의 전영현 부회장을 유임하고, 모바일(MX)·

대한항공, 삼성E&A와 손잡고 美SAF 시장에 진출한다

대한항공이 삼성E&A와 손잡고 미국발(發)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시장에 진출한다.대한항공과 삼성E&A는 이를 위해 지난 20일 오후

[ESG;스코어] 스코프2에서 멈춘 금융사들…공시품질 '신한 1위·KB 2위'

신한금융이 국내 금융사 기후공시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한국투자공사(KIC)는 최하위로 나타났다.20일 뉴스트리는 신한·KB·하나·우리

수퍼빈·아로마티카·커뮤니코, 순환경제 모델 구축 '맞손'

AI 기후테크 기업 수퍼빈과 아로마테라피 기반 스칼프&스킨케어 브랜드 아로마티카, 교육혁신 비영리단체 커뮤니코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체계 구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강화…'감사위원 3%룰'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ESG 책임투자를 한층 강화한다.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기후/환경

+

[COP30] 합의문 '막판 진통'…화석연료·기후재원 '평행선'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협상이 화석연료 전환과 기후재원을 둘러싼 이견으로 합의문 최종안이 막판

"하수구 좀 그만 막아"…英 물티슈 '판매금지' 결정

영국이 플라스틱 성분으로 제작된 '물티슈' 판매를 전면 금지한다.영국 의회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물티슈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의결했다고 지난

[COP30] 화재로 수천명 긴급 대피...합의문 협상도 지연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수천명이 긴급 대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일(현지

[주말날씨] '단풍 나들이' 마지막 기회...다음주부터 춥다

이번 주말은 맑고 비교적 온화해 초겨울 나들이 나가기 좋은 날씨겠다.22~23일 한반도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남하하지 않겠다. 또 한

대한항공, 삼성E&A와 손잡고 美SAF 시장에 진출한다

대한항공이 삼성E&A와 손잡고 미국발(發)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시장에 진출한다.대한항공과 삼성E&A는 이를 위해 지난 20일 오후

[ESG;스코어] 스코프2에서 멈춘 금융사들…공시품질 '신한 1위·KB 2위'

신한금융이 국내 금융사 기후공시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한국투자공사(KIC)는 최하위로 나타났다.20일 뉴스트리는 신한·KB·하나·우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