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라면 'PS 뚜껑' 뜨거운 물에 안전한 걸까?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6-30 07:00:06
  • -
  • +
  • 인쇄
식약처 "시판되는 컵라면 PS용기 안전하다"
▲ 시판중인 라면 중 일부는 여전히 'PS'로 된 용기를 사용한다.  


최근 '탈플라스틱' 흐름 속에서 식품업계는 'PS용기' 대부분을 종이로 대체하고 있지만 일부 컵라면은 여전히 PS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은 "진짜 믿고 먹어도 되는 것이냐"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현재까지 PS 컵라면 용기는 안전한 수준"이라며 "모니터링 결과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에 사용된 용기는 모두 안전하다"고 밝혔다. '폴리스티렌'(PS) 재질이 뜨거운 물에 약한 특성 때문에 불안해 하는 소비자들이 있지만 실험결과 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플라스틱의 일종인 PS의 유해 논란은 오래전부터 제기됐다. PS는 가볍고 저렴하지만 뜨거운 온도에 약하다. 이에 따라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변형이 일어나 내분비를 교란시키는 '비스페놀A'와 '스티렌다이머'등의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약처가 지난해 12월 29일 발표한 '합성수지제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이행물질 안전성평가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PS용기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당시 식약처는 시판되는 30개의 컵라면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컵라면 뚜껑을 닫고 5분간 기다린 다음 뚜껑을 열고 잘 저어준 뒤 25분 더 실온에 방치했다. 실험은 그냥 물과 라면수프를 재현하기 위해 4% 콩기름이 섞인 물, 20% 콩기름이 섞인 물을 각각 사용했다. 

▲지방함량이 많을수록, 오래 방치할수록 더 많은 양의 스티렌이 검출됐다. 


그 결과 지방 함량이 많을수록, 오래 방치할수록 더 많은 양의 스티렌이 검출됐다. 하지만 이는 모두 인체에 무해한 수준의 미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컵라면 1개 섭취시 노출 가능한 스티렌은 물에서 약 2.14마이크로그램(㎍), 20% 콩기름에서는 44㎍ 정도 나왔다. 인체에 유해한 정도를 판단하는 위해도(%TDI)는 각각 0.5%, 9.5%로 나타났다. 위해도가 100%를 넘으면 유해한 것으로 본다. 실제 지방함량이 20%가 넘는 컵라면은 없지만 조건을 가혹하게 설정했을 때도 인체에 안전한 수준이라는 게 식약처의 설명이다.

▲두 조건에서 모두 위해도 100%미만으로 나타났다. 


논란이 된 바 있는 비스페놀 A에 대해서도 식약처는 "비스페놀 A의 양은 매우 적다"면서 "사실 환경호르몬이라는 용어도 과학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안전하다'는 기준은 끓는 물을 붓고 조리했을 때의 경우다. PS 재질로 된 라면 용기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하면 위험하니 하지 말 것을 식약처는 권고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