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만 쉬어도 몸속으로"…미세플라스틱, 공기중에 떠다닌다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1 15:52:00
  • -
  • +
  • 인쇄
서울 부산 연구결과, 모든 대기에서 검출
대류권까지 올라가 세계 곳곳으로 확산
"미세플라스틱 관련 체계화된 연구 시급"

해양 등 물을 통해 인체에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세플라스틱. 하지만 공기 중에도 해양과 마찬가지로 미세플라스틱이 떠다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플라스틱의 공포가 더 심각하다는 결과로 추가 연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1일 부산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실내외 18곳의 공기를 분석한 결과 미세플라스틱 평균 농도가 실내는 1입방미터(㎥)당 0.4개, 실외는 0.1개로 나타났다. 특히 실내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더 작았다.

성분은 대부분 폴리에틸렌(PE) 입자다. 실내는 장난감과 포장재, 함성섬유 등에서 많이 배출됐고, 실외는 건축자재와 자동차, 음료수병 등에서 배출됐다.

앞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도 지난해 실내와 실외에 떠다니는 공기를 각각 포집해 20㎛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개수와 크기 분포, 종류 등을 분석한 바 있다. 연구결과,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1입방미터당 0.45~6.64개/㎥로 검출됐다.

실내공기에서는 1입방미터당 0.49~6.64(평균 3.02±1.77)개/㎥였고, 실외공기에서는 0.45~5.16(평균 1.96±1.65)개/㎥였다. 실외보다 실내에서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이 평균 1.5배 높았다. 미세플라스틱의 크기 분포는 실내에서 20.1~6801.2마이크로미터(㎛), 실외에서 20.3~4497.4㎛로 다양했다. 20~100㎛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전체 입자 중 48%~96% 차지했다.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종류는 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기타 순이었다. PE와 PP 성분이 전체 미세플라스틱의 약 67%를 차지했다. 특히 실내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의 비율이 높았다. 또 실내에서 환기를 많이 할수록 미세플라스틱이 감소했다.

해외 연구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대류권에 떠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팀은 대류권인 해발 2877m의 공기를 채집해 미세플라스틱이 있는지 확인했다. 연구팀이 2017년 6~10월 매주 1만㎥의 공기를 채집해 분석한 결과 모든 공기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공기 중에 미세플라스틱이 떠다닌다는 것은, 사람들이 숨을 쉴 때마다 이를 흡수한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현재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다. 이에 전문가들은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연구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부산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연구를 진행중인 최선화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는 "이번 연구도 초기 연구로 공기중에 미세플라스틱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의미 정도"라며 "다양한 환경에 따른 농도, 그리고 변화 정도 등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보다 체계화된 연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