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록 CEO "러-우 전쟁으로 친환경 '투자 붐' 온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4-14 10:58:06
  • -
  • +
  • 인쇄
블랙록 수익결산...순수익 전년대비 18% 증가
"인프라·재생에너지·청정기술 투자 가속화할 것"
▲래리 핑크 블랙록 CEO (사진=블랙록)


러-우 전쟁으로 각국이 에너지 전환에 박차를 가하면서 친환경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 붐'이 일어날 전망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최고경영자(CEO) 래리 핑크는 14일(현지시간) 수익결산 컨퍼런스콜에서 "인프라와 지속가능성의 교차지점에서 투자 호황이 일어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블랙록의 올 1분기 순수익은 전년대비 18% 늘어난 14억6000만달러(약 1조7859억원)를 기록했다. 래리 핑크 CEO는 "러-우 전쟁이 각국으로 하여금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재고하도록 했고, 이에 따라 녹색에너지 전환에 속도가 붙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화석연료와 같은 전통적인 에너지원의 생산량이 늘겠지만, 결국 세계 곳곳에서 인프라, 재생에너지, 청정기술에 대한 투자가 가속화할 것이며, 이는 중요한 장기투자 기회"라고 강조했다.

핑크 CEO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우리가 지난 30년간 지켜온 '세계화'라는 방향이 근본적으로 바뀔 것"이라며 지난달 25일 주주 연례서한을 통해 "이번 사태로 우리가 지난 30년간 겪어온 세계화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밝힌 내용을 재차 강조했다. 최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하락하면서 투자 시장에 혼란이 빚어졌고, 러-우 전쟁으로 혼란이 가중되면서 블랙록의 투자유입이 주춤했다.

하지만 이번 분기 블랙록의 순유입은 분석가들의 예상치였던 960억달러(약 117조원)를 훌쩍 뛰어넘은 1140억달러(약 139조원)를 기록했다. 순유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종목은 560억달러(약 68조5100)에 달한 아이셰어즈 상장지수펀드(ETF)였다. 핑크 CEO는 "이번 1분기에서도 투자자들이 변동성이 큰 시기에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자본을 ETF에 할당하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내 아이셰어즈 2차시장 거래량은 2021년 대비 40%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병력을 투입한 시점부터 전방위적인 제재로 러시아 내 블랙록 자산이 동결되면서 170억달러(약 20조8000억원) 규모의 채권 손실이 발생했고, 이번 1분기 블랙록의 운용자산은 9조6000억달러(1경1750억원) 규모로 하락했다. 블랙록의 운용자산은 지난 2021년말 처음으로 10조달러(1경2240조원)를 넘어선 바 있다.

그럼에도 미국 미주리주 증권사 에드워드 존스의 카일 샌더스 분석가는 "시장의 어려움이 블랙록의 회복력이 굳건하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ETF,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제품군 등의 사업에 투자하는 기조가 경쟁우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블랙록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법정 화폐와 일대일 가치가 고정돼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 화폐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사 서클(Circle)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핑크 CEO는 "신중하게 설계된 디지털 결제시스템은 자금 세탁이나 부패의 위험을 줄이면서 국제 거래 결제를 강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