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매연' 비흡연자 폐암 발병 원인으로 규명됐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13 16:54:59
  • -
  • +
  • 인쇄
英 프랜시스크릭연구소, ESMO에서 연구결과 발표
미세입자, 휴면상태 돌연변이 폐세포를 암으로 전환


자동차 매연과 폐암과의 연관성을 입증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결과는 비흡연자가 어떻게 폐암이 발병하는지 그 원인을 규명한 것이다.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Francis Crick Institute)는 자동차 매연의 미세입자가 휴면상태인 돌연변이 폐 세포를 암세포로 변이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대기오염이 비흡연자에게 어떻게 폐암을 유발하는 것인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한 것이다.

찰스 스완튼(Charles Swanton) 프랜시스크릭연구소 소속 교수이자 영국암연구소(Cancer Research UK) 수석 임상의는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전세계적으로 담배연기에 든 독성화학물질보다 대기오염에 노출된 사람의 수가 훨씬 많다"며 "대기오염으로 인한 폐암 위험은 흡연보다 낮지만 우리 모두가 숨쉬기를 통제할 수는 없다"고 경고했다.

흡연은 ​​폐암의 가장 큰 원인이지만 영국에서는 실외 공기오염으로 인한 폐암 발병률이 약 10건 가운데 1건꼴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대기오염이 폐암과 전혀 관련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담배를 피워본 적이 없는 약 6000명의 사람들이 매년 폐암으로 사망한다. 2019년 미세먼지(PM2.5)에 노출된 폐암사망자는 전세계 약 3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이 암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근거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흡연이나 햇빛노출이 직접적으로 폐암과 피부암으로 이어지는 DNA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것과 달리 대기오염은 이런 유전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대기오염물질이 EGFR이라는 돌연변이 유전자와 만나면 폐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진에 따르면 EGFR를 보유한 쥐가 오염물질 입자에 노출됐을 때 폐암에 걸릴 가능성이 훨씬 증가했다는 것이다. 오염물질이 가스레인지의 점화 역할을 하는 셈이다.

건강한 폐 조직에서도 볼 수 있는 이 돌연변이 유전자는 일생동안 DNA에 축적돼있는 일종의 작은 오류로, 보통 무해한 휴면 상태로 있다. 그러나 이 유전자는 PM2.5 입자에 노출되면 암으로 변할 수 있다. 연구팀이 환자 생체검사 때 채취한 건강한 폐 조직샘플을 분석한 결과 정상 폐 샘플 5개 중 1개 꼴로 EGFR 돌연변이가 발견됐다. 이는 거의 모든 사람이 폐암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는 돌연변이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누구나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폐암 발병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연구팀은 암 발병 위험성이 PM2.5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방출된 염증성 단백질 인터루킨-1 베타(IL1B)에 의해 매개된다고 밝혔다. 쥐에게 단백질을 차단하는 약물을 투여하자 오염물질 취약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같은 발견은 2019년 스위스 제약기업 노바티스(Novartis)가 발표한 심장질환약물 임상실험 결과 IL1B 억제제를 복용한 피험자들의 폐암 발병률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뒷받침하기도 한다. 스완튼 교수는 "이번 연구가 새로운 폐암 예방약을 개발할 길을 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스완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종"이라며 "대기오염이 폐암과 관련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의 메커니즘이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대부분 간과돼 왔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그는 "인간의 건강을 다루려면 기후건강을 먼저 다루어야 한다"며 기후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13년 대기오염으로 9살 딸 엘라를 잃은 로사문드 키시-데브라(Rosamund Kissi-Debrah)는 오염과 건강에 대한 '통합된 사고'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대기오염으로 매년 900만명이 조기사망하지만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며 "공기를 맑게 하지 않는 한 더 많은 사람들이 병에 걸릴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토니 목(Tony Mok) 홍콩중문대학 교수는 이번 연구를 두고 "오염과 폐암이 연관돼있다는 사실은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지만 이제 이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졌다"며 대기오염 및 탄소배출의 원인이 되는 화석연료 소비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