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마스크 바로 쓰면 위험?…"최소 1시간 기다려라"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3 11:35:54
  • -
  • +
  • 인쇄
메탄올·아세톤 등 화학물질 15종 검출
VOC 기준 초과 노출땐 구토·복통 유발
▲실험에 사용된 마스크 (사진=환경과학기술회보) 

새 마스크를 개봉하고 나서 1시간 뒤에 착용을 해야 안전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31일 중국 난징 정보과학대학과 아일랜드 골웨이(Galway) 대학 연구팀은 환경 과학 기술 회보(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저널에 '마스크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시간' 논문을 게재했다. 이 논문을 통해 개봉된 마스크가 시간단위로 배출하는휘발성유기화합물을 초정밀 기기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 세계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마스크 11종(수술용 7종·N95 4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N95는 공기에 떠다니는 1.0 마이크로미터(㎛) 이상 크기의 미세알갱이의 95% 이상을 걸러 주는 마스크다. 다만 국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KF80과 KF94 등은 실험에 사용되지 않았다. 

연구진들은 해당 마스크를 얇은 유리판에 넣고 분당 288mL의 공기를 주입해 반대쪽으로 공기가 나오도록 했다. 이는 일반 실외에서 부는 바람의 세기 정도이다.

실험 결과 공기를 주입한 마스크에서 1시간 가량 메탄올,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아세트알데하이드 등 15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발견됐다. 메탄올과 아세톤은 인체에 흡수가 빨라 단시간에 구토 및 복통을 일으킬 수 있다. 아세토나이트릴은 눈에 자극을 주고 아세트알데하이드도 장시간 노출될 경우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캐릭터 등이 그려진 어린이용 마스크에서는 다른 마스크보다 오히려 더 높은 VOC 농도를 보였다. 구토를 유발할 수 있는 메탄올이 안전 기준 아래로 떨어지는데 6시간이 걸렸다. 일부 수술용 마스크에서는 세계보건기구가(WHO)가 정한 실내공기 질(IAQ) 가이드라인 VOC 기준을 초과해 계속 노출될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연구팀은 "일부 수술용 마스크에서 배출된 고농도 VOC는 1시간 이후 농도가 안전한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VOC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개봉 후 최소 1시간 정도 통풍을 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