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잡아먹는다…빌 게이츠 홀린 '마법의 돌'

전찬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7 08:50:02
  • -
  • +
  • 인쇄
스타트업 '에어룸', 5430만달러 투자 유치
2035년까지 이산화탄소 10억톤 제거 목표
▲석회석을 활용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제거 기술을 개발한 '에어룸'(Heirloom) 샤샨크 사말라 CEO(사진=에어룸)


석회석을 활용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한 '에어룸'(Heirloom)이 마이크로소프트 등으로부터 543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5일(현지시간) CNBC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기후테크 스타트업 에어룸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아렌 이노베이션 캐피탈(Ahren Innovation Capital),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Breakthrough Energy Ventures), 로우어카본 캐피탈(Lowercarbon Capital) 등으로부터 5430만달러(약 700억원)를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가 설립한 기후 벤처 투자회사다.

이산화탄소 포집·제거 기술에 이처럼 거액의 투자가 이뤄진 배경은 뭘까. 지난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서 합의된 지구 평균기온 상승 최대치는 1.5도다. 이를 지키기 위해 현재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미 배출된 탄소를 제거해야 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매년 전세계적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10~20%를 포집해야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기존에도 포집기술을 갖춘 회사는 있었다. 클라임웍스(Climeworks)와 카본 엔지니어링(Carbon Engineering)은 대형 흡입기와 필터로 이산화탄소를 직접 빨아들였다. 참 인더스트리얼(Charm Industrial)은 유기 폐기물을 바이오기름(Bio-oil)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렇다면 에어룸의 포집기술은 무엇이 특별할까. 답은 석회석 활용이다. 자연 상태에서 석회석(CaCO3)은 칼슘(Ca)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CO2)가 결합해 생성된다. 그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돌속에 갇힌다. 에어룸은 연구를 통해 해당 메커니즘을 가속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자연에서 수년이 걸리는 석회화 과정을 3일로 단축시켰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035년까지 10억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에어룸이 특별한 이유는 하나 더 있다. 보유 기술의 핵심 재료인 석회석은 매우 흔하고 값싼 물질이다. 이러한 확장성과 경제성은 마이크로소프트 등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도 석회석만큼은 풍부하게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샤샨크 사말라(Shashank Samala) 에어룸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인류)는 수십억톤의 이산화탄소를 공기중에서 제거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수많은 회사들이 나서야 함과 동시에 다양한 포집 기술들이 개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중공업,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

삼성중공업이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삼성중공업은 독자 개발한 '유기랭킨사이클(ORC:Organic Rankine Cycle) 기반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쿠팡 '못난이 채소' 새벽배송 3년...직매입 물량 8000톤 돌파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쿠팡은 지난 2023년부터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기후/환경

+

전기차 충전시설, 28일부터 지자체 신고·책임보험 의무화

이달 28일부터 건축물 주차장에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지자체에 신고하고 책임보험도 가입해야 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COP30] 교황의 묵직한 경고..."기후위기 대응, 더는 미룰 수 없다"

교황 레오 14세가 세계를 향해 "기후위기 대응을 즉각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묵직한 경고를 날렸다.교황 레오 14세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앞으로 '1000년' 이어진다

탄소중립을 달성해도 산업화 이후 오른 지구의 평균기온이 최소 1000년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17일(현지시간) 21세기 호주 연방산업연구기구(CSIRO)

[COP30] "이건 생존이다!"…기후 취약국들 COP30에서 '절규'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는 생존 문제"라며 선진국의 실질적 감축과 재정지원 확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17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

지역마다 제각각 풍력·태양광 '이격거리'...기후부, 규제 합리화 추진

지역마다 제각각인 태양광과 풍력의 이격거리를 중앙정부 차원에서 규제 합리화를 추진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서울 영등포구 한국에너지공단 서울

'대기의 강' 때문?...美 LA에 역대급 폭우로 '물난리'

미국 로스앤젤레스(LA)를 비롯한 캘리포니아 남부지역에 폭우가 나흘 넘게 이어지면서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17일(현지시간)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