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겨울' 사라진다...60년 후 벌어질 끔찍한 시나리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9 10:25:27
  • -
  • +
  • 인쇄
기상청 '지역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발간
남부지역 '겨울' 사라지고, 절반이 여름철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금세기말 우리나라에서 겨울이 거의 사라지고 여름이 절반 이상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와 지난해 산출한 남한 고해상도(1㎞)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을 토대로 한 '지역 기후변화 전망보고서'를 29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220여개 기초자치단체 등의 기후변화 전망에 대한 상세정보가 담겨있다.

IPCC 6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지표면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1.09℃ 상승했고, 현 수준으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면 2021~2040년 중 1.5℃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도 1991~2020년 최근 30년간 평균기온이 1912~1940년에 비해 1.6℃ 상승했고, 이로 인해 극심한 더위와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IPCC의 기후 시나리오에 의하면 21세기 후반기 전지구의 평균기온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1995~2014년 대비 1.9~5.2℃ 상승한다. 강수량은 5~10% 증가하며, 해수면은 46~87cm 상승하고 해수면 온도도 1.4~3.7℃ 올라간다.

▲현재 및 미래 평균기온 및 강수량 변화 (자료=기상청)

한반도 역시 기후변화로 인해 21세기 후반 평균기온이 2.6~7℃까지 오르며, 강수량은 3~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남한의 기후는 2.3~6.3℃ 상승하고, 강수량은 3~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광역지자체별로 보면 '온실가스를 현재와 비슷하게 배출하는 경우'(SSP5-8.5·고탄소시나리오) 연평균 기온은 금세기말에 17.0~21.9℃로 현재(10.5~16.1도)보다 약 6도 높아진다. 연평균 기온 상승폭이 가장 큰 지자체는 서울과 경기로 6.7℃였다.

또 금세기 후반 남한 대부분의 지역은 겨울이 사라지면서 한파 역시 자취를 감출 전망이다. 현재 한파일은 0~21.9일이다.

특히 부산·대구·광주·울산·전북·전남·경남·제주 등 남부지역 8곳은 금세기 후반기인 2081~2100년에 겨울이 완전히 사라진다. 서울도 현재 102일이었던 겨울이 28일로 줄고, 127일이었던 여름이 188로 늘어난다. 기상학적으로 겨울은 '일평균기온이 5℃ 미만으로 떨어진 뒤 다시 올라가지 않았을 때'의 첫날로 본다. 1991~2020년 겨울일수는 평균 '12월 4일부터 이듬해 2월 28일까지' 87일이었다.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온난화에 의한 기온상승 때문이다.

현재 한반도의 여름일수는 평균 5월 31일~9월25일까지 118일이다. 그러나 금세기말에 이르면 제주지역의 여름일수는 211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1년 365일 가운데 60% 여름인 것이고, 현재 여름일수 129일보다 82일이 길어진다. 강원도 역시 여름일수가 81일에서 163일로 늘어난다. 여름은 '일평균기온이 20도 이상으로 오른 뒤 다시 떨어지지 않았을 때 그 첫날'에 시작한 것으로 본다.

여름이 길어지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극성을 부린다. 열대야일은 2.2~22.5일에서 55.2~103.3일로 11.4~84.8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는 금세기말에 폭염일이 120.1일로 늘어나고 제주는 열대야일이 103.3일로 늘어난다. 연중 3분의 1이 폭염과 열대야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폭염일은 '일최저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이고 열대야일은 '밤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이다.

강수량은 1278.0~2137.3㎜로 늘어난다. 현재 평균 강수량은 1193.1~1758.5㎜이다. 1일 최대강수량도 144.8~253.9㎜로 현재의  110.3~159.5㎜보다 많아진다.

'온실가스를 감축해 2070년께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경우'(SSp1-2.6·저탄소시나리오)에도 기온이 상승해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진다는 전망에는 변함이 없었다. 다만 연강수량은 줄어드는 지역도 있었다.

이 보고서는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