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외벽에 페인트칠하듯…'바르는' 태양광 전지 나왔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1 15:48:08
  • -
  • +
  • 인쇄
KIST, 두께 5분의 1 초박막 기술 개발
희귀원소 사용·시간·비용 획기적 절감
▲용액공정 CIGS 초박막 태양전지 (사진=KIST)


국내 연구진이 건물 외벽에 '바를 수 있는' 태양광 전지 상용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신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본부장 연구팀이 '건물일체형 태양광전지'(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발전에 필요한 박막 태양전지의 광흡수층 두께를 5분의 1로 줄여 생산경비와 제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BIPV는 태양광 전지를 건축자재로 활용해 건물을 통째로 태양광 발전시설로 만드는 발전 방식이다. 우리나라는 2050년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 전력의 90%를 태양광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탓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만으로는 보급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실적인 대안으로 BIPV가 주목받고 있다.

다만 BIPV는 생산단가가 높아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에 밀려난 상황이었다. BIPV는 광흡수 계수가 매우 커 얇은 박막으로도 높은 변환 효율을 갖춘 CIGS 무기박막을 사용한다. CIGS는 구리(Cu), 인듐(In), 갈륨(Ga), 셀레늄(Se) 4가지 원소를 가리킨다. 고가의 희귀원소인 인듐 및 갈륨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무기박막 태양전지는 '진공증착'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진공 상태에 피복될 물체와 그 표면에 부착시키려는 금속을 넣어둔 뒤 전기로 금속입자를 가열해 증발시키면 그 금속입자를 차가운 물체 표면에 응축해서 부착하는 방식이다. 해당 제조방식 역시 비용이 높고, 제조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런데 KIST 연구팀이 지난 10여년간 연구 끝에 기존의 '진공증착' 방식의 공정을 저가의 '용액인쇄' 방식 공정으로 바꿔 무기박막의 광흡수층 두께를 2~3㎛(마이크로미터)에서 0.5㎛ 수준으로 5분의 1가량 줄이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가의 희귀원소 사용량과 제조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줄여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

연구팀은 안정적으로 용액을 페인트칠하듯 바르는 바코팅 기술을 확보해 이미 태양전지 전문 중소기업에 이전을 완료한 상태다. 연구팀은 1일 "건물일체형 태양광전지에 사용되는 고안정성 무기박막 태양전지의 경제성을 크게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전문 중소기업에 기술 이전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KIST 민병권 본부장은 "인쇄 태양전지 기술은 아직 상용화에 성공하지 못한 도전적인 분야이지만, 실험실 수준에서는 이미 세계 최고 기술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과 긴밀한 협업을 진행한다면 머지 않은 미래에 세상을 놀라게 할 새로운 태양전지를 시장에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논문은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최신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