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상장기업 신임 女사외이사 25%..."역대 최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8 16:44:04
  • -
  • +
  • 인쇄
100대 상장사 신임 사외이사 187명 전수 분석
인적구성 여전히 미흡...기업인 출신 더 늘려야

올해 정기주총에서 신규 선임된 100대 상장기업의 사외이사 187명 가운데 처음으로 여성 이사의 비중이 25%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ESG평가원은 올봄 정기주주총회 이후 새로 선임된 SK, LG, 포스코, KB금융, 신한금융 등 100대 상장기업의 사외이사 187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여성의 비율은 25%였다. 지난해말 기준 사외이사 465명 가운데 여성비중이 100명(22%)이었던 것에 비해 늘어난 모습이다. 

지난해 8월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자산 2조원 이상 상장기업은 특정 성별로만 이사회를 구성할 수 없다. 최소한 1명 이상의 여성 사외이사 선임이 의무화된 것이다. 이를 위반시 처벌 조항은 없지만 ESG경영 차원에서뿐 아니라 투자와 기업평판에서 감점을 받지 않기 위해 기업들이 따르는 분위기다.

한국ESG평가원은 이번 분석에서 특히 중점을 둔 것은 사외이사의 과거 및 현재 직업이다. 손종원 한국ESG평가원 대표는 "우리나라에선 사외이사가 경영진 뜻에 순응하는 거수기 역할, 심지어 대외관계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인맥 구축용이라는 소리까지 들어왔다"며 "이들이 얼마나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고 있는지는 사외이사의 신상명세를 통해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고 분석 취지를 설명했다.

사외이사의 46%의 직업은 연구직을 포함한 현직 교수로, 지난해말 50%보다 소폭 줄었다. 그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직업은 법무법인 19%, 민간기업 14%, 회계법인 3% 순이었다. 민간기업 CEO나 임원 출신 비중이 지난해말 기준 11%에서 14%로 3%포인트(p) 커진 점도 긍정적이다. 선진국처럼 경영에 실질적인 조언을 할 수 있는 민간기업 경영자 출신의 사외이사 비중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외이사의 과거 직업도 교수 비중이 38%로 가장 컸다. 교수 외 사외이사의 전직 비중은 관료가 17%, 법조인이 15%로 컸다. 법조인 출신에서도 검사와 판사 등 사실상 전직 관료로 볼 수 있는 사람이 상당수여서, 실질적인 관료 비중은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관예우 관행과 더불어 기업들이 사외이사의 대정부 창구 역할을 여전히 중시한다는 점을 엿보게 한다.

경영 의사결정을 생생하게 조언할 전문경영인 출신은 12%에 불과했다. 이밖에 금융계 출신이 11%, 회계법인 출신 4%, 언론계 출신 2%였다.

연령으로 보면 사외이사 총 187명의 평균 연령은 60.1세였다. 지난해 말 기준 종전 사외이사의 평균연령 60.5세과 비교할 때 조금 젊어졌지만 대동소이하다. 최고령은 DGB금융지주의 최용호 이사(80세), 최연소는 롯데쇼핑의 전미영 이사(32세)였다.

60대가 전체의 50%, 50대가 36%였다. 70대가 7%, 40대가 5%였으며, 30대 사외이사는 1%였다. 50~60대가 전체의 86% 절대다수를 점한 것은 연륜이나 경력 등 면에서 볼 때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여지지만, 70~80대 이사가 8%인데 비해 30~40대가 이보다 적은 6%에 그쳤다는 점은 이사회 운영이 젊은 세대의 진취성과 활력을 주입하기 곤란한 구조라는 지적이다.

재선임된 사외이사의 비중과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비중은 거의 반반이었다. 2020년 상법 시행령의 개정으로 사외이사의 임기는 최장 6년을 초과할 수 없다. 임기 제한이 없으면 사외이사가 경영진과 유착하여 감시와 견제 기능이 약화되고 독립성 유지가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국ESG평가원은 "사외이사의 독립성 평가를 위해서는 오너 및 경영진과의 인맥관계와 회사와의 거래관계 등을 면밀히 조사해야 하지만, 공개된 자료만으로 이런 부분까지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다만 70대 이상 고령자의 비중이 크다거나, 회사 비즈니스와 무관한 경력의 사외이사가 있다면 이사회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일단 들여다 볼만 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