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입고 땀흘렸는데...피부로 흡수되는 환경호르몬 '범벅'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9 11:47:02
  • -
  • +
  • 인쇄
유명 스포츠의류에서 비스페놀A 과다검출
'스판덱스'가 함유된 폴리에스터 소재 의류

나이키, 아디다스, 파타고니아, 챔피언 등 유명 스포츠 브랜드 의류에서 환경호르몬이 과다검출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비영리단체 환경보건센터(CEH)가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동안 스포츠 의류를 대상으로 비스페놀A(이하 BPA) 여부를 분석한 결과, 나이키와 아디다스, 파타고니아, 챔피언, 아슬레타 등 8개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레깅스, 반바지, 스포츠브래지어, 운동셔츠 등 다수의 의류에서 캘리포니아주 기준치 3㎍를 초과하는 BPA가 검출됐다고 지난 17일(현지시간) 밝혔다. 

BPA는 스판덱스가 함유된 폴리에스터 소재 의류에서만 검출됐다. 환경보건센터(CEH)는 아슬레타, 핑크, 아식스, 노스페이스, 브룩스, 올인모션, 나이키, 휠라의 스포츠브래지어, 그리고 노스페이스와 브룩스, 미즈노, 애슬레타, 뉴발란스, 리복 등의 운동복에서 안전치의 최대 22배 BPA에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심지어 기준치의 40배가 넘는 제품도 있었다.

아슬레타, 챔피언, 콜스, 나이키, 파타고니아의 레깅스, 스웨이드베티의 스포츠브래지어, 패블릭스의 운동복 셔츠, 아디다스, 챔피언, 나이키의 반바지 등에서도 BPA가 검출됐다.

BPA는 물병, 통조림, 장난감, 바닥재까지 수많은 일상용품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여성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한다. 성인이 BPA에 노출될 경우 당뇨병 및 심장병, 암, 비만, 발기부전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기 천식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EH 측은 BPA가 섭취뿐만 아니라 피부 흡수로도 인체에 유입돼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CEH는 "BPA는 피부를 통해 수 초에서 수 분 만에 혈관으로 유입된다"며 "운동복은 보통 한 번에 몇 시간씩 착용하면서 땀을 흘리기 때문에 BPA 노출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설명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운동 후 옷을 갈아입는 등 활동복 착용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한편 CEH는 지난 2월 해당 기업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