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하늘에 '오존구멍' 뚫렸다...한달이나 앞당겨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8-09 14:39:12
  • -
  • +
  • 인쇄
통상 9월말에나 열려 "너무 이르다" 우려
통가 해저화산 폭발로 오존층 파괴된 듯


최근 남극에서 아르헨티나 크기의 해빙이 사라진 데 이어, 이번에는 오존구멍이 뚫리면서 이미 최저치를 기록한 남극해빙에 직격타를 날릴 전망이다.

8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이달들어 남극해 상공에 오존구멍이 뚫렸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 마틴 저커 박사는 "남극해 상공에서 오존구멍은 통상 9월말 열려 10월에 가장 커지고, 11~12월에 닫히는 주기를 갖췄다"며 "확실히 8월에 열리는 건 매우 이르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성층권(지표면 상공 10~50km)에 위치한 오존층은 태양이 내뿜는 자외선을 흡수한다. 매년 얇아졌다 두꺼워지는 주기를 반복하면서 너무 얇아지는 경우에는 구멍이 나기도 한다. 1989년 프레온가스 퇴출 이후 오존층은 회복세에 접어들어 2066년에 이르면 완전히 복구될 전망이다.

엘니뇨 진행 시기에는 오존구멍 크기가 예년보다 작은 편이다. 그런데 현재 엘니뇨가 진행중인데다 오존층이 회복세임에도 남극해 상공에는 이례적으로 빨리 오존구멍이 뚫린 것이다.

▲남반구 오존구멍 면적 크기 추이. 2023년을 나타내는 붉은색 선이 이례적으로 빠르게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자료=C3S)


저커 박사의 연구팀을 비롯해 호주 기상청 소속 크리스 루카스 선임연구원은 지난 2022년 남태평양 훙가통가 해저화산 분화를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때 화산폭발로 수증기가 지표면 150km 상공까지 치솟으면서 대기중 수증기 농도가 3배가량 급증했다. 이에 따라 성층권에 얼음구름이 형성됐고, 오존을 파괴하는 물질들이 얼음구름 주변으로 들러붙어 구멍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루카스 연구원은 "가장 오존구멍 크기가 빠르게 열렸던 건 2000년이었는데, 이번 오존구멍과 발전양상이 흡사하다"며 "수일내 빠르게 발달해 역대 관측된 오존구멍 가운데 가장 큰 크기로 커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남극해 상공에 오존구멍이 뚫리게 되면 남극이 더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게 되고, 해빙을 녹이는 열 에너지도 증가한다.

남극해빙 면적은 2년 연속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중순 남극해빙은 1981~2010년 평균치보다 260만㎢ 감소했다. 이는 278만㎢로 세계에서 8번째로 넓은 아르헨티나 국토 면적에 맞먹는다.

이처럼 해빙이 사라지면 하얗게 덮여있던 남극해가 검푸른 물결을 드러내면서 빛 흡수량이 늘어나고, 얼음이 녹는 속도는 더욱 가속하는 악순환이 빚어진다.

자외선 유입으로 해수온도가 변하면 '남반구 극진동(SAM)'에 따른 변수도 커진다. 현재 '양'(+)의 상태인 SAM은 남극 쪽으로 강력한 바람을 형성하면서 해빙들을 흐트려뜨리고 있다. 반대로 엘니뇨가 진행됨에 따라 SAM이 '음'(-)의 상태로 돌아서면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서 해빙들이 더 따뜻한 북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저커 박사는 "이밖에도 훙가통가 해저화산 폭발로 온실가스가 분출했고, 급작스런 해수온도 상승도 유발해 온난화를 부추기고 있다"며 "기후변화처럼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효과는 아니지만, 추가적인 영향을 끼칠 것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기후/환경

+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